산인 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인 본선은 일본의 주요 철도 노선 중 하나로, 교토에서 하타부까지 673.8km, 나가토시에서 센자키까지 2.2km를 운행한다. 이 노선은 여러 민간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고, 1933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서일본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사가노 관광 철도가 운영하며, 교토, 돗토리, 요나고, 이즈모를 연결하는 간선 역할을 한다. 운행 형태는 특급, 쾌속, 보통 열차 등으로 다양하며, 특히 교토-소노베 구간은 사가노 선으로 불리며 도시권 수송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돗토리현의 철도 - 와카사 철도
와카사 철도는 1987년 설립되어 JR서일본 와카사선을 인수, 운영하는 일본의 제3섹터 철도회사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공설민영 방식 채택 및 지역 사회 지원, 관광 열차 운행 등의 노력을 통해 와카사선을 운영하고 있다. - 돗토리현의 철도 - 슈퍼 하쿠토
슈퍼 하쿠토는 1994년 12월 3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일본의 특급 열차이며, 교토역, 돗토리역, 구라요시역 등을 잇고, 지즈 급행 지즈선을 경유하여 최고 속도 130km/h로 운행하며, HOT7000계 전동차를 사용한다. - 야마구치현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야마구치현의 철도 - 오노다선
오노다선은 서일본 여객철도에서 관할하는 철도 노선으로, 이노역과 오노다역 사이, 스즈메다역과 나가토모토야마역 사이 구간을 운행하며, 1067mm 궤간에 전 구간 단선으로 전철화되어 105계 전동차 등을 사용하고 우베선과 직결 운행한다.
산인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개요 | |
![]() | |
노선 이름 | 산인 본선 |
다른 이름 | 사가노 선(교토 - 소노베 구간) |
로마자 표기 | Sanin-honsen |
한자 표기 | 山陰本線 |
통칭 | 사가노 선(교토 - 소노베 구간) |
노선 색상 | #0072ba |
위치 | 교토부, 효고현, 돗토리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
노선 종류 | 보통 철도(재래선·간선) |
기점 | 교토역 |
종점 | 하타부역 |
역 수 | 161개 역 (지선 포함) |
노선 기호 | '[[파일:JRW san-A.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파일:JRW san-D.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파일:JRW kinki-E.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교토역 - 기노사키온센역 간)' '[[파일:JRW san-A.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기노사키온센역 - 요나고역 간)' '[[파일:JRW san-V.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 호키다이센역 - 요나고역 간)' '[[파일:JRW san-D.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요나고역 - 마스다역 간)' |
전보 약호 | 사이호세 |
개업일 | 1897년 2월 15일 |
전체 개통일 | 1933년 2월 24일 |
폐지일 | 해당 사항 없음 |
소유자 | 서일본 여객철도 |
운영자 | 서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 사업자) 사가노 관광 철도 (제2종 철도 사업자) 일본화물철도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참조 |
노선 길이 | 673.8 km (교토 - 하타부역 간) |
지선 길이 | 2.2 km (나가토시역 - 센자키역 간)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복선 (일부 구간), 단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교토역 - 기노사키온센역 간, 호키다이센역 - 니시이즈모역 간)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교토역 - 니시이즈모역 간) 자동 폐색식 (특수) (이즈모시역 - 하타부역 간, 센자키 지선) |
최고 속도 | 130 km/h |
지도 | |
![]() |
2. 역사
1897년 2월 15일, 교토 철도는 니조역 - 사가(현재의 사가아라시야마역) 구간(6.14km)을 개통하고 니조 역과 사가 역을 개업하였다. 같은 해 4월 27일에는 오미야 - 니조(3.30km) 구간을 연장 개통하고 오미야 역과 단바구치역을 개업하였으며, 11월 16일에는 교토 - 오미야(0.76km) 구간을 연장 개통하여 관설 철도(국철) 교토 선에 편입되었다.
1898년 1월 1일에는 하나조노 역이 개업하였다. 1899년 8월 1일 오미야 역이 폐지되었고, 8월 15일에는 사가 - 소노베 (25.53km)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가메오카역, 야기 역, 소노베 역이 개업하였다.
1902년 11월 12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체인에서 마일로 변경하였다. 1905년 1월 15일에는 오미야 역이 재개업하였으나, 1911년 9월 16일 다시 폐지되었다.
1907년 8월 1일, 교토 철도는 국유화되었고,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교토 - 소노베 구간이 '''교토 선'''이 되었다. 1910년 8월 25일에는 소노베 - 아야베 (42.00km)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히요시 역, 고미 역, 와치역, 야마이에 역이 개업하였다.
1904년 11월 3일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현재의 히가시마이즈루역)구간이 개통(후쿠치야마 - 아야베 구간은 12.39km). 한카쿠 철도가 관할했으며,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아야베 역, 이사 역, 후쿠치야마 역이 개업했다.
1907년 8월 1일 : 한카쿠 철도의 국유화.
1909년 10월 12일 : 노선 명칭 개정으로 가미사키(현재의 아마가사키 역)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 구간이 '''한카쿠 선'''이 되었다.
1908년 7월 1일, 와다야마 - 요카 구간(12.07km)이 개통되면서 야부 역과 요카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7월 10일에는 요카 - 도요오카 구간(17.22km)이 연장 개통되어 에바라 역과 도요오카 역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9월 5일, 도요오카 - 기노사키 구간(9.66km)이 연장 개통되면서 기노사키 역(현재의 기노사키 온천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시카마 - 히메지 - 와다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반탄 선으로 지정되었다.
1911년 10월 25일, 기노사키 - 가스미 구간(22.05km)과 와다야마 - 후쿠치야마 지선(30.58km)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이로써 가미카와구치 역, 시모야쿠노 역, 가미야쿠노 역, 야나세 역, 다케노 역, 사쓰 역, 가스미 역이 새롭게 영업을 시작했다.
1902년 11월 1일 사카이(현재의 사카이미나토역) - 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이 개통(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은 19.41km)되고[68],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요나고 역, 요도에역, 미쿠리야 역이 개업하였다. 12월 1일에는 구만토 역(현재의 호키다이센역)이 개업하였다.[69]
1903년에는 8월 28일 미쿠리야 - 야바세(17.70km)구간이 연장 개업하면서[70] 시모이치역, 아카사키역, 야바세 역(현재의 우라야스 역)이 개업하였고, 12월 20일 야바세 - 구라요시(15.61km)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71] 유라 역, 구라요시 역이 개업하였다.
1904년 3월 15일에는 구라요시 - 마쓰자키(5.47km)구간이 연장 개통되고[72] 마쓰자키 역이 개업하였으며, 1905년 5월 15일에는 마쓰자키 - 아오야(11.9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도마리 역, 아오야역이 개업하였다.
1907년 4월 28일에는 아오야 - 돗토리 임시 정차장(20.7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무라역, 호기역, 고야마역, 돗토리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1908년 4월 5일 돗토리 - 돗토리 임시 정차장(1.77km)구간과 요나고 - 야스기(8.8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기점이 사카이에서 돗토리로 바뀌며 돗토리 - 야스기 구간이 본선, 요나고 - 사카이 구간이 지선이 되었다. 돗토리 역, 야스기 역이 개업하고 돗토리 임시 정차장은 폐지되었다. 11월 8일에는 야스기 - 마쓰에(20.1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아라시마역, 이야역, 마가타 역(현재의 히가시마쓰에 역), 마쓰에 역이 개업하였다.
1909년 3월 1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고,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돗토리 - 요나고 - 마쓰에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 11월 7일에는 마쓰에 - 신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유마치 역(현재의 다마쓰쿠리온센역), 신지 역이 개업하였다.
1910년 6월 10일 이와미 - 돗토리(18.35km)구간과 신지 - 조바라(4.0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 역, 조하라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0일 조하라 - 이즈모이마이치(11.5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시오미 역(현재의 후쿠베역), 나오에역, 미즈모이마이치 역(현재의 이즈모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1년 10월 1일 구만토 역이 다이센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10일 하마사카 - 이와미(14.0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사카 역, 이구미역이 개업하였다.
1912년 1월 3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을 임시 정차장으로 변경시켜 메이와 임시 정차장으로 개업하였다. 3월 1일 가스미 - 하마사카(17.86km)구간이 연장 개업하여 교토 - 이즈모이마이치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고, 교토 선 전선, 한카쿠 선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 반탄 선 후쿠치야마 - 가스미 구간을 산인 본선에 편입시키면서 요로이역, 구타니역이 개업하였다. 3월 2일에는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고, 5월 1일 구라요시 역을 가미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13년 11월 21일 이즈모이마이치 - 오다(15.4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지미야 역(현재의 니시이즈모 역), 고난 역, 오다 역이 개업하였다.
1915년 3월 10일 시모키타조역이 개업하였고, 3월 31일 요나고 - 야스기 구간에 시미즈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으며, 7월 11일 오다 - 이와미오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다기 역, 하네역, 구테역, 이와미오타 역(현재의 오타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7년 5월 1일 다이센 역을 호키다이센 역으로 개칭하였고, 5월 15일 이와미오타 - 니마(11.7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소타케역, 니마 역이 개업하였다.
1918년 4월 21일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겐부도역이 되었고, 11월 25일 니마 - 아사리(19.1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마지 역, 유노쓰역, 구로마쓰 역, 아사리 역이 개업하였다.
1920년 12월 25일 아사리 - 쓰노즈(10.6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고쓰 역(현재의 고쓰 역), 쓰노즈 역이 개업하였다.
1921년 9월 1일 쓰노즈 - 하마다(14.6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시 역, 시모코역, 하마다 역이 개업하였다.
1922년 3월 10일 하마다 - 스후(9.5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나가하마 역(현재의 니시하마다역), 스후 역이 개업하였고, 9월 1일 스후 - 미호미스미(9.8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미호미스미 역이 개업하였다.
1923년 12월 26일 미호미스미 - 이와미마스다(현재의 마스다, 21.8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야마구치선과 접속하였고, 가마테 역, 이와미쓰다역이 개업하였다.
1924년 4월 1일 오리이역이 개업하였다.
1925년 3월 8일 이와미마스다 - 이와미오바마(9.8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오바마 역(현재의 도다오바마역)이 개업하였고,[73] 7월 6일 고야마 - 호기 구간에 시로사키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며, 10월 10일 시모야마 역이, 11월 1일에는 이와미오바마 역을 도다오바마 역으로 개칭하였다.
1926년 4월 1일 오카미역이 개업하였고, 9월 16일에는 시즈마역이, 9월 17일에는 다이센구치역이 개업하였다.
1927년 6월 19일 도다오바마 - 이노우라(3.7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노우라 역이 개업하였다.
1928년 3월 25일 이노우라 - 스사(12.3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에사키 역, 스사 역이 개업하였고, 7월 4일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현재의 야바세 역)이, 9월 11일에는 스에쓰네 역이, 10월 25일에는 이와미후쿠미쓰역이 개업하였다.
1929년 8월 1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에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고, 12월 25일 기마치 역이 개업하였다.
1930년 4월 1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교토 - 스사 구간은 336.8M → 542.0km)하였고, 화물 지선 마유 - 마유코(1.0km)구간이 개업하여 마유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교토 - 단바구치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31년 7월 18일 모로요세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 1914년 (다이쇼 3년) 4월 22일: '''조슈 철도''' 히가시시모노세키역 - 하타부역 - 오구시역이 개업 (하타부역 - 오구시역 구간은 14.8M≒23.82 km.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아카다고치정류장, 아야라기역, 야스오카역, 후쿠에역, 요시미역, 우메가토게역, 구로이무라역, 가와타나온센역, 오구시역이 개업[74]。
- 1917년 (다이쇼 6년) 3월 1일: 아카다고치 정류장이 폐지[75]。
- 1925년 (다이쇼 14년)
- * 6월 1일: 하타부역 - 오구시역 구간이 국유화되어, '''오구시 선'''이 됨[76]。전 노선에서 0.1M (≒0.16 km) 단축. 기관차 4량, 객차 10량, 화차 23량을 인수[77]。
- * 8월 16일: 오구시역 - 다키베역 구간 (9.4M≒15.13 km)이 연장 개업. 유다마역, 나가토후타미역, 다키베역이 개업.
- 1928년 (쇼와 3년) 9월 9일: 다키베역 - 아가와역 구간 (4.8M≒7.72 km)이 연장 개업. 고토이역과 아가와역이 개업.
- 1930년 (쇼와 5년) 4월 1일: 영업 거리의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 (28.9M→46.4 km).
- 1924년 (다이쇼 13년) 11월 3일: '''미네 선''' 쇼메이시 역 (현재의 나가토시 역) - 나가토미스미 역 간 (3.2M≒5.15 km)이 연장 개업. 나가토미스미 역이 개업.
- 1925년 (다이쇼 14년)
- * 4월 3일: 나가토미스미 역 - 하기 역 간 (11.6M≒18.67 km)이 연장 개업. 미미 역, 타마에 역, 하기 역이 개업.
- * 11월 1일: 하기 역 - 히가시하기 역 간 (2.3M≒3.70 km)이 연장 개업. 히가시하기 역이 개업.
- 1928년 (쇼와 3년) 12월 9일: 지선인 쇼메이시 역 - 키바코 역 간 (3.3M≒5.31 km)이 개업. 키바코 역이 개업.
- 1929년 (쇼와 4년)
- * 4월 24일: 히가시하기 역 - 나고 역 간 (7.4M≒11.91 km)이 연장 개업. 나가토오이 역과 나고 역이 개업.
- * 10월 13일: 지선인 키바코 역 - 나가토후루이치 역 간 (2.5M≒4.02 km)이 연장 개업. 나가토후루이치 역이 개업.
- 1930년 (쇼와 5년)
- * 4월 1일: 영업 거리의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 (쇼메이시 역 - 나고 역 간 24.5M→39.4 km, 쇼메이시 역 - 나가토후루이치 역 간 5.8M→9.4 km).
- * 5월 15일: 화물 지선인 쇼메이시 역 - 센자키 역 간 (2.2 km)이 개업. 화물역으로 센자키 역이 개업.
- * 12월 7일: 나가토후루이치 역 - 아카와 역 간 (18.4 km)이 연장 개업하여 코구시 선에 접속. 히토마루 역, 이가미 역, 나가토아와노 역이 개업.
- 1931년 (쇼와 6년) 11월 15일: 나고 역 - 우다고 역 간 (11.0 km)이 연장 개업. 키요 역과 우다고 역이 개업.
1933년 2월 24일 스사 - 우다고 구간(8.8km) 연장 개통으로 교토 - 하타부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 미네 선 우다고 - 쇼묘이치 - 아가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고구시 선 전선에 편입되어 교토 - 하타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78] 7월 26일에는 지선 조묘이치 - 센자키 구간에 여객 영업이 개시되었다.
1935년 5월 1일 유사토 역이 개업하였고, 7월 20일에는 우미호리 역, 나미카와 역, 지요카와 역, 요시토미 역이 개업하였다. 10월 1일에는 아스오카 - 아야라기 구간에 가지쿠리 역이 개업하였다.
1936년 4월 15일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호즈쿄 역이 되었다. 1937년 4월 10일에는 노기 역이 개업하였다.
1938년 6월 1일 모로요세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모로요세 역이 되었고, 8월 20일 야바세 역을 히가시야바세 역으로 개칭하고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야바세 역이 되었다.
1941년 8월 10일 요시토미 역·가지쿠리 역이 휴지되었다. 1943년 10월 1일 시오미 - 돗토리 구간에 다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5년 5월 30일 아야라기 - 하타부 구간에 히에다 신호장이 개설되었다가 11월 14일 폐지되었다. 1946년 4월 25일 와치 - 야마가 구간에 다치기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7년 이와미마스다 - 도다오바마 구간에 경마장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나 폐지일은 불명이다. 6월 26일 시바야마 역이 개업하였고, 11월 1일 다치기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다치기 역이 되었다.
1948년 10월 13일 고쿠후 역이 개업하였다. 1949년 3월 1일 시오미 역을 후쿠부 역으로, 5월 11일 유마치 역을 다마쓰쿠리 온천역으로, 12월 15일 히가시야바세 역을 우라야스 역으로, 이와미하마다 역을 니시하마다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0년 1월 1일 히가시하마 역·오이와 역이 개업하였다. 1951년 10월 1일 요시토미 역이 재개업하였고, 11월 1일 나카야마구치 역이 개업하였다. 1953년 10월 10일 후나오카 역이 개업하였다.
1955년 2월 10일 메이와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메이와 역이 되었고, 8월 1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하마다코(2.3km)구간이 개업하고 하마다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1957년 2월 11일 야세리 역이 개업하였고, 4월 1일 이즈모이마이치 역을 이즈모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2월 12일 다카쓰 역, 7월 19일 우가혼고 역이 개업하였다.
1959년 3월 1일 구시로 역, 4월 1일 우야가와 역, 4월 16일 아마루베 역이 개업하였다. 1960년 4월 1일 고시가하마 역이 개업하였다.
1962년 11월 1일 쇼묘이치 역이 나가토시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22일 호키다이센 - 요나고 구간에 히노가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2월 1일 히노가와 신호장 - 요나고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63년 6월 1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64년 1월 21일 이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일 시미즈지 임시 정차장이 폐지되고 시미즈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6년 10월 1일 이와미마스다 역을 마스다 역으로 개칭하고, 호키다이센 - 히노가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히노가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1968년 9월 18일 아야베 - 이사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9월 23일 요카 - 에바라 구간에 슈쿠나미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9년 3월 1일 시로사기 신호장이 폐지되었고, 9월 26일 이사 - 후쿠치야마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70년 2월 21일 다마쓰쿠리 온천 - 기마치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6월 1일 이와미고쓰 역을 고쓰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1년 2월 1일 이와미오타 역을 오타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2년 2월 14일 가미이 역을 구라요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3년 4월 1일 마유 역을 히가시마쓰에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5년 4월 1일 화물지선 히가시마쓰에 - 마유코(1.0km)구간 및 화물역인 마유코 역이 폐지되었다.
1976년 3월 16일 교토 - 니조 구간이 고가화되고 단바구치 역이 이전되었다. 12월 1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아이다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77년 3월 10일 마쓰에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고, 1978년 11월 8일 돗토리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다.
1979년 10월 31일 히가시마쓰에 - 마쓰에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80년 8월 31일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재해로 불통되었다가 10월에 복구되었지만 다시 불통되었다. 1981년 3월 5일 다시 토사붕괴가 일어나 불통되었던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복구되었다.
1982년 6월 18일 시미즈지 신호장 - 야스기 구간, 6월 24일 요나고 - 시미즈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시미즈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7월 1일 호키다이센 - 지미야 구간이 전철화되어 특급 야쿠모 전동차화되었고, 진자이 역(현재의 이즈모진자이 역)이 개업하였다. 11월 7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 하마다코(2.3km)구간 및 화물역인 하마다코 역이 폐지되었다.
1985년 7월 27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임시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86년 8월 1일 폐지되었다. 10월 29일 후쿠치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11월 1일 나가토시 - 하타부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으며, 임시역인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폐지되었다. 12월 28일 요로이 - 아마루베 구간의 아마루베 철교에서 회송중이던 객차가 추락하는 산인 선 아마루베 철교 열차 추락 사고가 발생하였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산인 본선을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하였다. 일본화물철도가 단바구치 - 니조 구간과 고야마 - 이즈모시 구간, 고쓰 - 마스다 구간에서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되었다. 니조 - 고야마 구간과 이즈모시 - 고쓰 구간,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88년 3월 13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고,[185] 교토 - 소노베 구간에 '''사가노 선'''이라는 애칭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9년 3월 5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을 복선화하는 과정에서 신선으로 건설하여 영업 거리가 1.6km 단축되었고, 열차 운행이 폐지된 구선은 보존되었다. 3월 11일 우즈마사 역이 개업하였다.
1990년 3월 10일 교토 - 소노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6월 1일 철도부 제도가 발족하여 와다야마 - 이구미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도요오카 철도부 관리로, 니시이즈모 - 마스다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하마다 철도부 관리로 이행하였다.[186] 같은 날 도요오카 - 돗토리 구간과 이즈모시 - 마스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7]
1991년 4월 1일 제2차 철도부의 발족과 동시에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마이즈루 철도부 관리로, 이구미 - 호키다이센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돗토리 철도부 관리로, 마스다 - 하타부 구간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이 히로시마 지사 관할에서 나가토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88] 같은 날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과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9] 4월 2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의 구선이 사가노 관광 철도 사가노 관광선으로 개업(서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사가노 관광 철도가 제2종 철도사업자)하였다. 11월 1일 나가토시 - 시모노세키 구간, 12월 1일 돗토리 - 요나고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91]
1992년 4월 1일 요나고 - 니시이즈모 구간이 요나고 지사 직할에서 이즈모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92] 1993년 3월 18일 히가시야마 공원역이 개업하였고, 지미야 역을 니시이즈모 역으로, 진자이 역을 이즈모진자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7월 23일
2. 1. 교토 철도 → 교토 선
1897년 2월 15일, 교토 철도는 니조역 - 사가(현재의 사가아라시야마역) 구간(6.14km)을 개통하고 니조 역과 사가 역을 개업하였다. 같은 해 4월 27일에는 오미야 - 니조(3.30km) 구간을 연장 개통하고 오미야 역과 단바구치역을 개업하였으며, 11월 16일에는 교토 - 오미야(0.76km) 구간을 연장 개통하여 관설 철도(국철) 교토 선에 편입되었다.1898년 1월 1일에는 하나조노 역이 개업하였다. 1899년 8월 1일 오미야 역이 폐지되었고, 8월 15일에는 사가 - 소노베 (25.53km)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가메오카역, 야기 역, 소노베 역이 개업하였다.
1902년 11월 12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체인에서 마일로 변경하였다. 1905년 1월 15일에는 오미야 역이 재개업하였으나, 1911년 9월 16일 다시 폐지되었다.
1907년 8월 1일, 교토 철도는 국유화되었고,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교토 - 소노베 구간이 '''교토 선'''이 되었다. 1910년 8월 25일에는 소노베 - 아야베 (42.00km)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히요시 역, 고미 역, 와치역, 야마이에 역이 개업하였다.
2. 2. 한카쿠 선(후쿠치야마-아야베 구간)
1904년 11월 3일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현재의 히가시마이즈루역)구간이 개통(후쿠치야마 - 아야베 구간은 12.39km). 한카쿠 철도가 관할했으며,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아야베 역, 이사 역, 후쿠치야마 역이 개업했다.1907년 8월 1일 : 한카쿠 철도의 국유화.
1909년 10월 12일 : 노선 명칭 개정으로 가미사키(현재의 아마가사키 역)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 구간이 '''한카쿠 선'''이 되었다.
2. 3. 반탄 선(후쿠치야마-가스미 구간)
1908년 7월 1일, 와다야마 - 요카 구간(12.07km)이 개통되면서 야부 역과 요카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7월 10일에는 요카 - 도요오카 구간(17.22km)이 연장 개통되어 에바라 역과 도요오카 역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9월 5일, 도요오카 - 기노사키 구간(9.66km)이 연장 개통되면서 기노사키 역(현재의 기노사키 온천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시카마 - 히메지 - 와다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반탄 선으로 지정되었다.1911년 10월 25일, 기노사키 - 가스미 구간(22.05km)과 와다야마 - 후쿠치야마 지선(30.58km)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이로써 가미카와구치 역, 시모야쿠노 역, 가미야쿠노 역, 야나세 역, 다케노 역, 사쓰 역, 가스미 역이 새롭게 영업을 시작했다.
2. 4. 산인 본선(전 구간 개통 이전)
1902년 11월 1일 사카이(현재의 사카이미나토역) - 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이 개통(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은 19.41km)되고[68],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요나고 역, 요도에역, 미쿠리야 역이 개업하였다. 12월 1일에는 구만토 역(현재의 호키다이센역)이 개업하였다.[69]1903년에는 8월 28일 미쿠리야 - 야바세(17.70km)구간이 연장 개업하면서[70] 시모이치역, 아카사키역, 야바세 역(현재의 우라야스 역)이 개업하였고, 12월 20일 야바세 - 구라요시(15.61km)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71] 유라 역, 구라요시 역이 개업하였다.
1904년 3월 15일에는 구라요시 - 마쓰자키(5.47km)구간이 연장 개통되고[72] 마쓰자키 역이 개업하였으며, 1905년 5월 15일에는 마쓰자키 - 아오야(11.9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도마리 역, 아오야역이 개업하였다.
1907년 4월 28일에는 아오야 - 돗토리 임시 정차장(20.7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무라역, 호기역, 고야마역, 돗토리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1908년 4월 5일 돗토리 - 돗토리 임시 정차장(1.77km)구간과 요나고 - 야스기(8.8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기점이 사카이에서 돗토리로 바뀌며 돗토리 - 야스기 구간이 본선, 요나고 - 사카이 구간이 지선이 되었다. 돗토리 역, 야스기 역이 개업하고 돗토리 임시 정차장은 폐지되었다. 11월 8일에는 야스기 - 마쓰에(20.1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아라시마역, 이야역, 마가타 역(현재의 히가시마쓰에 역), 마쓰에 역이 개업하였다.
1909년 3월 1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고,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돗토리 - 요나고 - 마쓰에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 11월 7일에는 마쓰에 - 신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유마치 역(현재의 다마쓰쿠리온센역), 신지 역이 개업하였다.
1910년 6월 10일 이와미 - 돗토리(18.35km)구간과 신지 - 조바라(4.0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 역, 조하라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0일 조하라 - 이즈모이마이치(11.5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시오미 역(현재의 후쿠베역), 나오에역, 미즈모이마이치 역(현재의 이즈모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1년 10월 1일 구만토 역이 다이센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10일 하마사카 - 이와미(14.0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사카 역, 이구미역이 개업하였다.
1912년 1월 3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을 임시 정차장으로 변경시켜 메이와 임시 정차장으로 개업하였다. 3월 1일 가스미 - 하마사카(17.86km)구간이 연장 개업하여 교토 - 이즈모이마이치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고, 교토 선 전선, 한카쿠 선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 반탄 선 후쿠치야마 - 가스미 구간을 산인 본선에 편입시키면서 요로이역, 구타니역이 개업하였다. 3월 2일에는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고, 5월 1일 구라요시 역을 가미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13년 11월 21일 이즈모이마이치 - 오다(15.4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지미야 역(현재의 니시이즈모 역), 고난 역, 오다 역이 개업하였다.
1915년 3월 10일 시모키타조역이 개업하였고, 3월 31일 요나고 - 야스기 구간에 시미즈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으며, 7월 11일 오다 - 이와미오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다기 역, 하네역, 구테역, 이와미오타 역(현재의 오타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7년 5월 1일 다이센 역을 호키다이센 역으로 개칭하였고, 5월 15일 이와미오타 - 니마(11.7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소타케역, 니마 역이 개업하였다.
1918년 4월 21일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겐부도역이 되었고, 11월 25일 니마 - 아사리(19.1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마지 역, 유노쓰역, 구로마쓰 역, 아사리 역이 개업하였다.
1920년 12월 25일 아사리 - 쓰노즈(10.6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고쓰 역(현재의 고쓰 역), 쓰노즈 역이 개업하였다.
1921년 9월 1일 쓰노즈 - 하마다(14.6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시 역, 시모코역, 하마다 역이 개업하였다.
1922년 3월 10일 하마다 - 스후(9.5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나가하마 역(현재의 니시하마다역), 스후 역이 개업하였고, 9월 1일 스후 - 미호미스미(9.8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미호미스미 역이 개업하였다.
1923년 12월 26일 미호미스미 - 이와미마스다(현재의 마스다, 21.8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야마구치선과 접속하였고, 가마테 역, 이와미쓰다역이 개업하였다.
1924년 4월 1일 오리이역이 개업하였다.
1925년 3월 8일 이와미마스다 - 이와미오바마(9.8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오바마 역(현재의 도다오바마역)이 개업하였고,[73] 7월 6일 고야마 - 호기 구간에 시로사키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며, 10월 10일 시모야마 역이, 11월 1일에는 이와미오바마 역을 도다오바마 역으로 개칭하였다.
1926년 4월 1일 오카미역이 개업하였고, 9월 16일에는 시즈마역이, 9월 17일에는 다이센구치역이 개업하였다.
1927년 6월 19일 도다오바마 - 이노우라(3.7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노우라 역이 개업하였다.
1928년 3월 25일 이노우라 - 스사(12.3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에사키 역, 스사 역이 개업하였고, 7월 4일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현재의 야바세 역)이, 9월 11일에는 스에쓰네 역이, 10월 25일에는 이와미후쿠미쓰역이 개업하였다.
1929년 8월 1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에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고, 12월 25일 기마치 역이 개업하였다.
1930년 4월 1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교토 - 스사 구간은 336.8M → 542.0km)하였고, 화물 지선 마유 - 마유코(1.0km)구간이 개업하여 마유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교토 - 단바구치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31년 7월 18일 모로요세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이 노선은 세 개의 서로 다른 민간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국유화되어 일본국유철도(JGR)에 의해 연결되었다. 교토 철도는 1897년에서 1899년 사이에 소노베까지 구간을 개통했고, 반츠루 철도는 1904년 아야베역에서 후쿠치야마 구간(현재 마이즈루선의 일부)을 개통했다. 두 회사는 1907년에 국유화되었다.
JGR에 의해 처음 개통된 구간은 1902년 요나고와 미쿠리야 사이였으며, 이후 노선은 점차 동쪽으로 연장되어 1907년 돗토리, 1908년 이와미에 도달했으며, 같은 해에 현재의 반탄선이 와다야마와 요카까지 개통되었다. 이 노선의 건설은 서쪽으로 계속되었고, 두 노선은 1912년에 연결되었다. 그동안 소노베에서 아야베 구간은 1910년에 개통되었고, 후쿠치야마에서 와다야마 구간은 그 다음 해에 개통되었다. 또한 요나고에서 서쪽으로의 건설이 진행되어 1908년 마쓰에, 1910년 이즈모시에 개통되었으며, 1912년에 언급된 연결로 385km의 연속 노선이 완성되었다. 서쪽 끝에서는 1914년 조슈 철도가 하타부에서 고구시 구간을 개통했다. 이즈모시에서 건설은 점차 서쪽으로 계속되어 1923년 마스다, 1925년 토다코하마에 개통되었으며, 이 해에 조슈 철도가 국유화되고 고구시에서 타키베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양방향에서 건설이 계속되어 1933년에 두 구간이 연결되어 현재의 노선이 완성되었다.
2. 5. 전 구간 개통 이후
1933년 2월 24일 스사 - 우다고 구간(8.8km) 연장 개통으로 교토 - 하타부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 미네 선 우다고 - 쇼묘이치 - 아가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고구시 선 전선에 편입되어 교토 - 하타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78] 7월 26일에는 지선 조묘이치 - 센자키 구간에 여객 영업이 개시되었다.1935년 5월 1일 유사토 역이 개업하였고, 7월 20일에는 우미호리 역, 나미카와 역, 지요카와 역, 요시토미 역이 개업하였다. 10월 1일에는 아스오카 - 아야라기 구간에 가지쿠리 역이 개업하였다.
1936년 4월 15일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호즈쿄 역이 되었다. 1937년 4월 10일에는 노기 역이 개업하였다.
1938년 6월 1일 모로요세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모로요세 역이 되었고, 8월 20일 야바세 역을 히가시야바세 역으로 개칭하고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야바세 역이 되었다.
1941년 8월 10일 요시토미 역·가지쿠리 역이 휴지되었다. 1943년 10월 1일 시오미 - 돗토리 구간에 다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5년 5월 30일 아야라기 - 하타부 구간에 히에다 신호장이 개설되었다가 11월 14일 폐지되었다. 1946년 4월 25일 와치 - 야마가 구간에 다치기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7년 이와미마스다 - 도다오바마 구간에 경마장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나 폐지일은 불명이다. 6월 26일 시바야마 역이 개업하였고, 11월 1일 다치기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다치기 역이 되었다.
1948년 10월 13일 고쿠후 역이 개업하였다. 1949년 3월 1일 시오미 역을 후쿠부 역으로, 5월 11일 유마치 역을 다마쓰쿠리 온천역으로, 12월 15일 히가시야바세 역을 우라야스 역으로, 이와미하마다 역을 니시하마다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0년 1월 1일 히가시하마 역·오이와 역이 개업하였다. 1951년 10월 1일 요시토미 역이 재개업하였고, 11월 1일 나카야마구치 역이 개업하였다. 1953년 10월 10일 후나오카 역이 개업하였다.
1955년 2월 10일 메이와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메이와 역이 되었고, 8월 1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하마다코(2.3km)구간이 개업하고 하마다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1957년 2월 11일 야세리 역이 개업하였고, 4월 1일 이즈모이마이치 역을 이즈모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2월 12일 다카쓰 역, 7월 19일 우가혼고 역이 개업하였다.
1959년 3월 1일 구시로 역, 4월 1일 우야가와 역, 4월 16일 아마루베 역이 개업하였다. 1960년 4월 1일 고시가하마 역이 개업하였다.
1962년 11월 1일 쇼묘이치 역이 나가토시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22일 호키다이센 - 요나고 구간에 히노가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2월 1일 히노가와 신호장 - 요나고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63년 6월 1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64년 1월 21일 이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일 시미즈지 임시 정차장이 폐지되고 시미즈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6년 10월 1일 이와미마스다 역을 마스다 역으로 개칭하고, 호키다이센 - 히노가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히노가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1968년 9월 18일 아야베 - 이사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9월 23일 요카 - 에바라 구간에 슈쿠나미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9년 3월 1일 시로사기 신호장이 폐지되었고, 9월 26일 이사 - 후쿠치야마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70년 2월 21일 다마쓰쿠리 온천 - 기마치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6월 1일 이와미고쓰 역을 고쓰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1년 2월 1일 이와미오타 역을 오타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2년 2월 14일 가미이 역을 구라요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3년 4월 1일 마유 역을 히가시마쓰에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5년 4월 1일 화물지선 히가시마쓰에 - 마유코(1.0km)구간 및 화물역인 마유코 역이 폐지되었다.
1976년 3월 16일 교토 - 니조 구간이 고가화되고 단바구치 역이 이전되었다. 12월 1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아이다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77년 3월 10일 마쓰에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고, 1978년 11월 8일 돗토리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다.
1979년 10월 31일 히가시마쓰에 - 마쓰에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80년 8월 31일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재해로 불통되었다가 10월에 복구되었지만 다시 불통되었다. 1981년 3월 5일 다시 토사붕괴가 일어나 불통되었던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복구되었다.
1982년 6월 18일 시미즈지 신호장 - 야스기 구간, 6월 24일 요나고 - 시미즈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시미즈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7월 1일 호키다이센 - 지미야 구간이 전철화되어 특급 야쿠모 전동차화되었고, 진자이 역(현재의 이즈모진자이 역)이 개업하였다. 11월 7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 하마다코(2.3km)구간 및 화물역인 하마다코 역이 폐지되었다.
1985년 7월 27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임시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86년 8월 1일 폐지되었다. 10월 29일 후쿠치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11월 1일 나가토시 - 하타부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으며, 임시역인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폐지되었다. 12월 28일 요로이 - 아마루베 구간의 아마루베 교량에서 회송중이던 객차가 추락하는 산인 선 아마루베 철교 열차 추락 사고가 발생하였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산인 본선을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하였다. 일본화물철도가 단바구치 - 니조 구간과 고야마 - 이즈모시 구간, 고쓰 - 마스다 구간에서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되었다. 니조 - 고야마 구간과 이즈모시 - 고쓰 구간,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88년 3월 13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고,[185] 교토 - 소노베 구간에 '''사가노 선'''이라는 애칭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9년 3월 5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을 복선화하는 과정에서 신선으로 건설하여 영업 거리가 1.6km 단축되었고, 열차 운행이 폐지된 구선은 보존되었다. 3월 11일 우즈마사 역이 개업하였다.
1990년 3월 10일 교토 - 소노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6월 1일 철도부 제도가 발족하여 와다야마 - 이구미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도요오카 철도부 관리로, 니시이즈모 - 마스다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하마다 철도부 관리로 이행하였다.[186] 같은 날 도요오카 - 돗토리 구간과 이즈모시 - 마스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7]
1991년 4월 1일 제2차 철도부의 발족과 동시에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마이즈루 철도부 관리로, 이구미 - 호키다이센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돗토리 철도부 관리로, 마스다 - 하타부 구간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이 히로시마 지사 관할에서 나가토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88] 같은 날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과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9] 4월 2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의 구선이 사가노 관광 철도 사가노 관광선으로 개업(서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사가노 관광 철도가 제2종 철도사업자)하였다. 11월 1일 나가토시 - 시모노세키 구간, 12월 1일 돗토리 - 요나고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91]
1992년 4월 1일 요나고 - 니시이즈모 구간이 요나고 지사 직할에서 이즈모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92] 1993년 3월 18일 히가시야마 공원역이 개업하였고, 지미야 역을 니시이즈모 역으로, 진자이 역을 이즈모진자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7월 23일 - 8월 16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임시역으로 기리하마비치 역이 개업하였고,[193] 이후 1996년까지 하계에 운영되었다. 8월 1일 하마다 - 마스다 구간에서 키하 120계 기동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194] 9월 4일 사가 역을 사가아라시야마 역으로 개칭하였고, 9월 23일 교토 - 단바구치 구간에 임시역으로 녹화 페어 우메코지 역이 개업하여 같은 해 11월 20일까지 영업하였다.[195]
1995년 4월 20일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7월 27일 돗토리대학 앞역이 개업하였다. 1996년 3월 16일 소노베 - 아야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니조 - 하나조노 구간이 고가화되었으며, 도노다 역을 히요시 역으로 개칭하고 신큐대학 앞역이 개업하였다. 단바구치 - 니조 구간과 요나고 - 히가시마쓰에 구간의 화물 열차 설정이 폐지되었다. 8월 21일 임시역인 기리하마비치 역이 폐지되었다.[196]
1997년 3월 22일 고쓰 - 오카미 구간의 화물 열차 설정이 폐지되었고, 10월 1일 고야마 - 호키다이센 구간의 화물 열차 설정이 폐지되었다. 1998년 3월 14일 이즈모시 역 근처가 고가화되었다.
1999년 3월 13일 이즈모다이샤 역을 이즈모진자이 역으로 개칭하였고, 10월 2일 후쿠치야마에서의 특급 그린 요금 환물 통산 제도를 도입하였다.[197]
2000년 9월 23일 니조 - 하나조노 구간이 복선화되고 엔마치 역이 개업하였다.[198] 2001년 3월 3일 후쿠치야마 - 도요오카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고,[199] 7월 7일 요나고 - 마스다 구간의 고속화 공사가 완료되어 요나고 - 이즈모시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200]
연월일 불명이나 고구시 - 하타부 구간이 나가토 철도부에서 시모노세키 지역 철도부 관리로 이관되었다. 2002년 8월 30일 후쿠치야마 - 이구미 구간에 소규모 선구 자동진로제어장치(SRC)가 도입되었다.[201]
2003년 10월 1일 돗토리 - 요나고 구간의 고속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2004년 4월 1일 일본화물철도의 제2종 철도사업자(고야마 - 호키다이센 구간)가 폐지되었다.
2005년 3월 1일 기노사키 역을 기노사키 온천역으로 개칭하였고,[202] 11월 26일 후쿠치야마 역 근처가 고가화되었다.[203] 연월일 불명이나 마이즈루 철도부의 폐지로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후쿠치야마 철도부 직할로 돌아갔다.[204]
2006년 4월 1일 일본화물철도의 제2종 철도사업자(단바구치 - 니조 구간, 히가시마쓰에 - 이즈모시 구간, 고쓰 - 오카미 구간)가 폐지되었다. 2008년 3월 15일 가지쿠리고다이치 역이 개업하였고, 3월 23일 하나조노 - 우즈마사 구간, 5월 25일 우즈마사 - 사가아라시야마 구간이 고가화되었다. 12월 14일 우마호리 - 가메오카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05]
2009년 3월 14일 야기 - 소노베 구간, 7월 20일 교토 - 단바구치 구간,[207] 9월 6일 나미카와 - 야기 구간,[208] 11월 1일 가메오카 - 나미카와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09]
2010년 1월 31일 단바구치 - 니조 구간,[210] 3월 7일 하나조노 - 사가아라시야마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11] 7월 17일 - 8월 11일 아마루베 교량의 보강 작업으로 가스미 - 하마사카 구간이 운휴하여 버스 대행수송이 실시되었고, 8월 12일 콘크리트로 보강한 아마루베 교량의 공용이 개시되었다.
2011년 6월 1일 도요오카 철도부의 폐지로[212] 와다야마 - 이구미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직할로 돌아갔다.[213]
3. 노선 정보
산인 본선은 총 연장 676.0km(지선 포함)의 노선이다.[181] 관리 및 노선 거리(영업 거리)는 다음과 같다.
- 서일본 여객철도(제1종 철도사업자):
- ** 교토 - 하타부 간 673.8km
- ** 나가토시 - 센자키 간 2.2km
- 일본화물철도(제2종 철도사업자):
- ** 호키다이센 - 히가시마쓰에 구간 27.1km(현재 요나고 - 히가시마쓰에 구간은 휴지중)[180]
- ** 오카미 - 마스다 간 16.9km
- 사가노 관광 철도(제2종 철도사업자):
- ** 도롯코사가 - 도롯코카메오카 간 7.3km
궤간은 1067mm(협궤)이다.[180] 역 수는 160개(시종점 포함. 사가노 관광 철도의 역은 제외)이다. 산인 본선 소속 역에 한한 경우, 도카이도 본선 소속의 교토 역과 산요 본선 소속의 하타부 역을 제외하면 158역이다.
복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 교토 - 소노베 간(사가아라시야마 - 우마호리 간은 구선을 포함해 일부 구간이 3선이고, 구선은 사가노 관광 철도가 제2종 철도 사업자로써 도롯코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180]
- 아야베 - 후쿠치야마 간
- 호키다이센 - 야스기 간
- 히가시마쓰에 - 마쓰에 간
- 다마쓰쿠리 온천 - 기마치 간
전철화 구간은 다음과 같다.
- 교토 - 기노사키 온천 간, 호키다이센 - 니시이즈모 간(직류 1500V)[180]
폐색 방식은 다음과 같다.
최고속도는 다음과 같다.
- 사가아라시야마 - 우마호리 간, 아야베 - 후쿠치야마 간 : 130km/h[180]
- 교토 - 사가아라시야마, 우마호리 - 아야베, 돗토리 - 이즈모시 간 : 120km/h
- 이즈모시 - 마스다 간 : 110km/h
- 후쿠치야마 - 돗토리, 마스다 - 하타부 구간 : 95km/h
- 나가토시 - 센자키 간 : 85km/h
운전 지령소는 다음과 같다.
- 교토 - 소노베 간 : 오사카 종합 지령소[181]
- 소노베 - 이구미 간 : 후쿠치야마 운전 지령실
- 이구미 - 나가토시 간 : 요나고 운전 지령실
- 나가토시 - 하타부 간 : 히로시마 종합 지령소
지선을 포함한 각 철도부의 관리는 다음과 같다.[181]
4. 운행 형태
교토역 - 돗토리역 간에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특급 마이즈루 (교토역 - 히가시마이즈루역 간)
- 특급 하시다테 (교토역 - 아마노하시다테 역 간)
- 특급 기노사키 (교토역 - 기노사키 온천 간)
- 특급 고노토리 (신오사카역 - 후쿠치야마·도요오카·기노사키 온천 간)
- 특급 하마카제 (오사카역 - 가스미·하마사카·돗토리 간)
돗토리 - 마스다 구간에서는 최근의 고속화 공사로 신형 특급 열차가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돗토리 이서로는 돗토리·요나고·마스다 등을 연결하는 도시간 연락 특급열차가 아래와 같이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마쓰카제 (돗토리 - 요나고·마스다 간)
- 특급 슈퍼 오키 (돗토리·요나고 - 신야마구치 간)
인요 연락 노선에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하쿠토 (교토 - 돗토리·구라요시 간/지즈 급행선, 인비 선 경유)
- 특급 야쿠모 (오카야마 - 이즈모시 간/하쿠비 선 경유)
야간 열차로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침대특급 선라이즈 이즈모 (도쿄 - 이즈모시 간/하쿠비 선 경유)
4. 1. 우등 열차
이전에는 교토·오사카 또는 도쿄 방면에서 돗토리 이서를 이어주는 열차는 산인 본선의 와다야마역 - 돗토리 역 간을 경유하였지만, 도쿄 방면의 경우 쓰야마 선·인비 선을 경유하거나 오카야마역을 경유하는 경로가 메인 루트였다. 지즈 급행이 개통하면서 지즈 급행선을 이용한 루트를 취하기 시작했다. 현재, 교토·오사카부터의 특급은 대부분의 전동차는 기노사키 온천역까지만 운행한다.교토역 - 돗토리역 간에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특급 마이즈루 (교토역 - 히가시마이즈루역 간)
- 특급 하시다테 (교토역 - 아마노하시다테 역 간)
- 특급 기노사키 (교토역 - 기노사키 온천 간)
- 특급 고노토리 (신오사카역 - 후쿠치야마·도요오카·기노사키 온천 간)
- 특급 하마카제 (오사카역 - 가스미·하마사카·돗토리 간)
돗토리 - 마스다 구간에서는 최근의 고속화 공사로 신형 특급 열차가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돗토리 이서로는 돗토리·요나고·마스다 등을 연결하는 도시간 연락 특급열차가 아래와 같이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마쓰카제 (돗토리 - 요나고·마스다 간)
- 특급 슈퍼 오키 (돗토리·요나고 - 신야마구치 간)
인요 연락 노선에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하쿠토 (교토 - 돗토리·구라요시 간/지즈 급행선, 인비 선 경유)
- 특급 야쿠모 (오카야마 - 이즈모시 간/하쿠비 선 경유)
야간 열차로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침대특급 선라이즈 이즈모 (도쿄 - 이즈모시 간/하쿠비 선 경유)
4. 1. 1. 현행 정기 열차
교토역 - 돗토리역 간에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정기 열차, 산인 본선 경유분만 기재. 야간 열차는 후술)- 1. 산인 본선(소노베) 경유의 열차
- 교토역 - 아야베역 간
- 특급 "마이즈루" (교토역 - 히가시마이즈루역)…마이즈루 선 경유 1999년 -
- : 아래의 "하시다테", "키노사키"와 병결 운전
- 교토역 - 후쿠치야마역 간
- 특급 "하시다테" (교토역 - 미야즈역, 아마노하시다테역, 도요오카역 (구미하마 - 도요오카 간 쾌속 열차))…교토 단고 철도 미야후쿠선・미야토요선 경유 1996년 -
- 교토역 - 기노사키온센역 간
- 특급 "키노사키" (교토역 - 후쿠치야마역, 도요오카역, 기노사키온센역)…1996년 -
- 2. 후쿠치야마 선 경유의 열차
- 후쿠치야마역 - 기노사키온센역 간
- 특급 "고노토리" (신오사카역 - 후쿠치야마역, 도요오카역, 기노사키온센역)…2011년 -
- 3. 반탄 선 경유의 열차
- 와다야마역 - 돗토리역 간
- 특급 "하마카제" (오사카역 - 카스미역, 하마사카역, 돗토리역)…1972년 -
음양 연락 특급으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이들 열차는 교토역, 신오사카역에서 도카이도 신칸센, 히메지역・오카야마역에서 산요 신칸센과 연결된다.
- 5. 지즈 급행선・인미 선 경유의 열차
- 돗토리역 - 구라요시역 간
- 특급 "슈퍼 하쿠토" (교토역 - 돗토리역, 구라요시역)…1994년 -
- 6. 하쿠비 선 경유의 열차
- 호키다이센역 - 요나고역 - 이즈모시역 간
- 특급 "야쿠모" (오카야마역 - 이즈모시역)…1972년 -
돗토리역 - 마스다역 간은 최근의 고속화 공사 등으로 인해, 신형 차량의 특급을 등장시키기에 이르렀지만, 그 한편으로 마스다역 - 하타부역 간은 "이소카제" 폐지 이후, 우등 열차는 없어졌다. 돗토리역 이서에 관해서는, 돗토리역, 요나고역, 마스다역 등을 잇는 도시 간 연락 특급으로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돗토리역 - 이즈모시역 간에서 120km/h, 이즈모시역 - 마스다역 간에서 110km/h 운전을 하고 있다.
- 8. 돗토리역・요나고역 이서의 열차
- 돗토리역 - 마스다역 간
- 특급 "슈퍼 오키" (돗토리역・요나고역 - 신야마구치역)…야마구치 선 경유 2001년 -
- 특급 "슈퍼 마쓰카제" (돗토리역 - 요나고역, 마스다역)…2003년 -
이 외에도, 야간 열차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오사카역발 급행 "다이센" (오사카역 - 요나고역)이 2004년 10월 16일에, 또한 도쿄역발 침대 특급 "이즈모" (도쿄역 - 이즈모시역)가 2006년 3월 18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된 후에는, 하쿠비선 경유의 열차만 운행되고 있다.
- 6. 하쿠비 선 경유의 열차
- 호키다이센역 - 요나고역 - 이즈모시역 간
- 침대 특급 "선라이즈 이즈모" (도쿄역 - 이즈모시역)…1998년-
- 특급 "WEST EXPRESS 은하" (교토역 - 이즈모시역) (부정기 열차)…2020년-
운전 구간에 보통 열차 구간을 포함한다. 복수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동시기에 운전되었을 가능성은 없다. 현행 구간의 역명은 운전 중단 구간과의 접속역 이외에는 생략한다.
4. 1. 2. 과거의 열차
- 아사시오 (교토 - 요나고 간/일부 열차 마이즈루선 경유): 1972년 - 1996년[182]
- 마쓰카제 (교토 - 하카타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2년 - 1986년
- 야쿠모 (신오사카 - 하마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5년 - 1972년
- 에델 기타킨키 (오사카 - 하마사카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90년 - 1999년
- 에델 돗토리 (오사카 - 구라요시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90년 - 1999년
- 하쿠토 (교토 - 구라요시 간, 이후 신오사카 - 돗토리 간/지즈 급행선/인비선 경유): 1994년 - 1997년 (슈퍼 하쿠토로 편입)
- 이나바 (돗토리 - 요나고 간): 1996년 - 2001년 (구니비키로 편입)
- 구니비키 (돗토리 - 마스다 간): 1988년 - 2001년 (슈퍼 구니비키로 개칭)
- 슈퍼 구니비키 (돗토리 - 마스다 간): 2001년 - 2003년 (슈퍼 마쓰카제로 개칭)
- 이소카제 (요나고 - 하카타 간): 1985년 - 2005년
- 슈퍼 야쿠모 (오카야마 - 이즈모시간/하쿠비선 경유): 1994년 - 2006년 (야쿠모로 통일)
- 오키 (신오사카 - 이즈모시 간/하쿠비선 경유): 1971년 - 1972년
- 오키 (돗토리 - 오고리 간, 요나고 - 시모노세키 간/야마구치선 경유): 1975년 - 2001년 (슈퍼 오키로 개칭)
- 침대특급
- * 이나바 (도쿄 - 요나고 간): 1975년 - 1978년 (이즈모로 편입)
- * 이즈모 (도쿄 - 하마다): 1972년 - 2006년
- 급행(주요 열차, 운행 구간은 보통 운행 구간도 포함/운행 기간은 급행 시대)
- * 단고(교토 - 기노사키[182]·히가시마이즈루·쓰루가·도요오카 간): 1966년 - 1996년
- * 시로사기(교토 - 이즈모시·다이샤 간): 1961년 - 1986년 (1961년 - 1968년까지는 오사카 - 마쓰에 간 편성 연결)
- * 단바(오사카 - 기노사키·아마노하시다테 간/일부 열차 미야즈선 경유): 1966년 - 1986년
- * 다이센(오사카 - 마스다·다이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8년 - 2004년
- * 시마네(오사카 - 이즈모시·다이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4년 - 1965년
- * 오키(오사카 - 이즈모시·다이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5년 - 1968년
- * 다지마(오사카 - 돗토리 간/반탄선 경유): 1966년 - 1996년
- * 아사시오(가나자와 - 이즈모시 간/오바마선·미야즈선 경유): 1964년 - 1968년 (연결 열차 다이샤로 통합)
- * 다이샤(가나자와 - 요나고·나고야 - 다이샤 간/오바마선·미야즈선 경유): 1966년 - 1982년 (산인 본선 정기 직통 시대. 가나자와 편성은 원래 아사시오이다)
- * 미사사(오사카 - 구라요시 간/기신선·인비선 경유): 1966년 - 1985년 (산인 본선 정기 직통 시대. 폐지는 1997년)
- * 사고가오카(우노 - 아게이 간, 이후엔 오카야마 - 요나고 간): 1968년 - 1991년 (산인 본선 정기 직통 시대. 폐지는 1997년)
- * 미호(돗토리 - 사카이미나토 간): 1966년 - 1982년
- * 이와미(돗토리 - 마스다 간): 1966년 - 1985년
- * 산베(돗토리 - 구마모토 간): 1968년 - 1997년
- * 시마네(요나고 - 하카타 간): 1965년 - 1968년
- * 하기(요나고 - 나가토시 간): 1972년 - 1975년 (나가토로 개칭)
- * 나가토(요나고 - 나가토시 간): 1975년 - 1985년
- * 하쿠지(오카야마 - 요나고 간): 1975년 - 1982년
- * 시라기리(요나고 - 히로시마 간/하쿠비선 경유): 1966년 - 1968년 (지도리로 통합. 후에도 하쿠비선 경유는 1972년까지 이어짐.)
- * 이나바(돗토리 - 히로시마 간/기스키선 경유): 1966년 - 1968년 (지도리로 통합)
- * 지도리(돗토리 - 히로시마 간/기스키선 경유): 1966년 - 1990년 (산인 본선 직통 시댜. 폐지는 2002년)
- * 아키요시(고쓰 - 히타 간): 1966년 - 1985년
- * 나가토(하마다 - 고쿠라 간): 1985년 - 1992년
4. 2. 지역 운송
국철 시대에는 전 구간을 운행하는 장거리 열차를 다수 볼 수 있었으나, 교토발 보통 객차 열차의 행선이 소노베역이나 후쿠치야마역 등으로, 도요오카역, 하마사카역, 돗토리역, 요나고역, 이즈모시역, 하마다역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후쿠치야마 역에서 후쿠치야마 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도 포함)현재는 아래의 구간처럼 상세하게 나뉘고 있다.교토 - 소노베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각역정차나 쾌속열차는 1인 승무로 운행되고 있다.
국철 시대에는 거의 전 노선을 통해 운행되는 장거리 열차가 많이 운행되었으며, 교토역 발 보통 객차 열차의 행선지만 봐도 소노베역이나 후쿠치야마역뿐만 아니라 도요오카역, 하마사카역, 돗토리역, 요나고역, 이즈모시역, 하마다역 등도 있었으나, 현재는 대략 아래 구간으로 운행 계통이 세분화되어 있다.
주로 중거리·도시 간의 급행 수송을 담당하는 쾌속 열차가 교토역 - 후쿠치야마역 간(쾌속 운전 구간은 교토역 - 가메오카역 간)·돗토리역 - 요나고역 간(쾌속 운전 구간은 돗토리역 - 요나고역 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한편, 소노베역 - 하마사카역 간에서도 2013년부터 일부 정기 보통 열차가 쾌속 열차로 변경되었지만, 이쪽은 이용객이 적은 역을 통과 운전하는 것이다. 쾌속 열차로 변경된 열차도 계속해서 다른 보통 열차와 일체적인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2022년 3월 시간표 개정 전까지는 이즈모시역 - 마스다역 간에서 쾌속 운전을 하는 열차도 존재했다.(자세한 내용은 아쿠아라이너를 참조.)
또한,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구간의 보통 및 쾌속 열차에서 원맨 운전을 하고 있다.
4. 2. 1. 교토-소노베 구간 (사가노선)
사가노 선이라는 애칭이 있다. 어번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이용객 수·열차 운행 수가 많으며, 아침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운송력을 최대로 끌어올려 운용하고 있다. 2010년 3월 7일에는 교토 - 소노베 구간이 복선화(교토 역 구내에서는 단선)공사가 종료되었다.교토 - 우메코지-교토니시 - 탄바구치 - 니조 - 에마치 - 하나조노 - 우즈마사 - 사가-아라시야마 - 호즈쿄 - 우마호리 - 가메오카 - 나미카와 - 지요카와 - 야기 - 요시토미 - 소노베
사가노선이라는 애칭이 있다. 어반 네트워크 권역 내에 있어 여객 수, 열차 운행 횟수 모두 많으며, 아침 러시 아워의 수송력은 포화 상태에 가깝다. 2010년 3월 7일에 교토역 - 소노베역 간의 복선화(교토역 구내는 단선)가 완성되었다. 교토역 - 소노베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 외에, 교토역 - 사가아라시야마·가메오카역 간의 구간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4. 2. 2. 소노베-후쿠치야마 구간
전철화 및 고속화 공사가 진행되어 특급 소요 시간은 짧은 편이다. 그러나 보통 열차는 느리고 대향 열차와의 교행이나 특급의 추월을 위해 정차 시간이 길고, 구간 내에는 곡선이 많아 속도 제한이 있어 소요 시간은 상당히 긴 편이다.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은 마이즈루 선·오바마 선으로부터 후쿠치야마 선으로 연락하는 특급 릴레이 호가 운행되고 있다. 운행 횟수는 시간당 한두 편 정도이다. 보통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1인 승무가 실시되고 있으며, 2량 편성의 열차는 차장 승무로 운행되는 열차가 있다. 교토 역에서 직통하는 열차는 아침저녁의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는 소노베 - 후쿠치야마 간의 열차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에는 소노베 역에서 사가노 선의 열차와 접속된다. 또한 교토 - 후쿠치야마 구간은 특급 우선도가 높고, 대피선이 갖춰진 역이 많다.[13]쾌속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하는 완행 열차로 운행되며, 소노베역에서 후쿠치야마역까지 운행한다.
역 | 거리 (km) | 환승 | 소재지 | ||
---|---|---|---|---|---|
소노베 | 園部 | 34.2 | 사가노 선 | 난탄 | 교토부 |
후나오카 | 船岡 | 38.2 | |||
히요시 | 日吉 | 41.9 | |||
신큐다이가쿠마에 | 鍼灸大学前 | 44.3 | |||
고마 | 胡麻 | 47.1 | |||
시모야마 | 下山 | 51.9 | 교토탄바 , 후나이 | ||
와치 | 和知 | 58.6 | |||
아세리 | 安栖里 | 60.7 | |||
다치키 | 立木 | 65.5 | |||
야마가 | 山家 | 69.0 | 아야베 | ||
아야베 | 綾部 | 76.2 | 마이즈루 선 | ||
다카쓰 | 高津 | 80.3 | |||
이사 | 石原 | 82.8 | 후쿠치야마 | ||
후쿠치야마 | 福知山 | 8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