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인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인 본선은 일본의 주요 철도 노선 중 하나로, 교토에서 하타부까지 673.8km, 나가토시에서 센자키까지 2.2km를 운행한다. 이 노선은 여러 민간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고, 1933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서일본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사가노 관광 철도가 운영하며, 교토, 돗토리, 요나고, 이즈모를 연결하는 간선 역할을 한다. 운행 형태는 특급, 쾌속, 보통 열차 등으로 다양하며, 특히 교토-소노베 구간은 사가노 선으로 불리며 도시권 수송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돗토리현의 철도 - 와카사 철도
    와카사 철도는 1987년 설립되어 JR서일본 와카사선을 인수, 운영하는 일본의 제3섹터 철도회사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공설민영 방식 채택 및 지역 사회 지원, 관광 열차 운행 등의 노력을 통해 와카사선을 운영하고 있다.
  • 돗토리현의 철도 - 슈퍼 하쿠토
    슈퍼 하쿠토는 1994년 12월 3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일본의 특급 열차이며, 교토역, 돗토리역, 구라요시역 등을 잇고, 지즈 급행 지즈선을 경유하여 최고 속도 130km/h로 운행하며, HOT7000계 전동차를 사용한다.
  • 야마구치현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야마구치현의 철도 - 오노다선
    오노다선은 서일본 여객철도에서 관할하는 철도 노선으로, 이노역과 오노다역 사이, 스즈메다역과 나가토모토야마역 사이 구간을 운행하며, 1067mm 궤간에 전 구간 단선으로 전철화되어 105계 전동차 등을 사용하고 우베선과 직결 운행한다.
산인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개요
아 마루베 교량을 건너는 특급
아 마루베 교량을 건너는 특급 "하마카제" (2011년 8월)
노선 이름산인 본선
다른 이름사가노 선(교토 - 소노베 구간)
로마자 표기Sanin-honsen
한자 표기山陰本線
통칭사가노 선(교토 - 소노베 구간)
노선 색상#0072ba
위치교토부, 효고현, 돗토리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노선 종류보통 철도(재래선·간선)
기점교토역
종점하타부역
역 수161개 역 (지선 포함)
노선 기호'[[파일:JRW san-A.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파일:JRW san-D.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파일:JRW kinki-E.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교토역 - 기노사키온센역 간)'
'[[파일:JRW san-A.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기노사키온센역 - 요나고역 간)'
'[[파일:JRW san-V.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 호키다이센역 - 요나고역 간)'
'[[파일:JRW san-D.svg|25px|link=서일본 여객철도]] (요나고역 - 마스다역 간)'
전보 약호사이호세
개업일1897년 2월 15일
전체 개통일1933년 2월 24일
폐지일해당 사항 없음
소유자서일본 여객철도
운영자서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 사업자)
사가노 관광 철도 (제2종 철도 사업자)
일본화물철도
사용 차량사용 차량 참조
노선 길이673.8 km (교토 - 하타부역 간)
지선 길이2.2 km (나가토시역 - 센자키역 간)
궤간1,067 mm
선로 수복선 (일부 구간), 단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교토역 - 기노사키온센역 간, 호키다이센역 - 니시이즈모역 간)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교토역 - 니시이즈모역 간)
자동 폐색식 (특수) (이즈모시역 - 하타부역 간, 센자키 지선)
최고 속도130 km/h
지도
산인 본선 노선도
산인 본선 노선도

2. 역사

1897년 2월 15일, 교토 철도는 니조역 - 사가(현재의 사가아라시야마역) 구간(6.14km)을 개통하고 니조 역과 사가 역을 개업하였다. 같은 해 4월 27일에는 오미야 - 니조(3.30km) 구간을 연장 개통하고 오미야 역과 단바구치역을 개업하였으며, 11월 16일에는 교토 - 오미야(0.76km) 구간을 연장 개통하여 관설 철도(국철) 교토 선에 편입되었다.

1898년 1월 1일에는 하나조노 역이 개업하였다. 1899년 8월 1일 오미야 역이 폐지되었고, 8월 15일에는 사가 - 소노베 (25.53km)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가메오카역, 야기 역, 소노베 역이 개업하였다.

1902년 11월 12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체인에서 마일로 변경하였다. 1905년 1월 15일에는 오미야 역이 재개업하였으나, 1911년 9월 16일 다시 폐지되었다.

1907년 8월 1일, 교토 철도는 국유화되었고,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교토 - 소노베 구간이 '''교토 선'''이 되었다. 1910년 8월 25일에는 소노베 - 아야베 (42.00km)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히요시 역, 고미 역, 와치역, 야마이에 역이 개업하였다.

1904년 11월 3일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현재의 히가시마이즈루역)구간이 개통(후쿠치야마 - 아야베 구간은 12.39km). 한카쿠 철도가 관할했으며,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아야베 역, 이사 역, 후쿠치야마 역이 개업했다.

1907년 8월 1일 : 한카쿠 철도의 국유화.

1909년 10월 12일 : 노선 명칭 개정으로 가미사키(현재의 아마가사키 역)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 구간이 '''한카쿠 선'''이 되었다.

1908년 7월 1일, 와다야마 - 요카 구간(12.07km)이 개통되면서 야부 역과 요카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7월 10일에는 요카 - 도요오카 구간(17.22km)이 연장 개통되어 에바라 역과 도요오카 역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9월 5일, 도요오카 - 기노사키 구간(9.66km)이 연장 개통되면서 기노사키 역(현재의 기노사키 온천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시카마 - 히메지 - 와다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반탄 선으로 지정되었다.

1911년 10월 25일, 기노사키 - 가스미 구간(22.05km)과 와다야마 - 후쿠치야마 지선(30.58km)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이로써 가미카와구치 역, 시모야쿠노 역, 가미야쿠노 역, 야나세 역, 다케노 역, 사쓰 역, 가스미 역이 새롭게 영업을 시작했다.

1902년 11월 1일 사카이(현재의 사카이미나토역) - 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이 개통(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은 19.41km)되고[68],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요나고 역, 요도에역, 미쿠리야 역이 개업하였다. 12월 1일에는 구만토 역(현재의 호키다이센역)이 개업하였다.[69]

1903년에는 8월 28일 미쿠리야 - 야바세(17.70km)구간이 연장 개업하면서[70] 시모이치역, 아카사키역, 야바세 역(현재의 우라야스 역)이 개업하였고, 12월 20일 야바세 - 구라요시(15.61km)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71] 유라 역, 구라요시 역이 개업하였다.

1904년 3월 15일에는 구라요시 - 마쓰자키(5.47km)구간이 연장 개통되고[72] 마쓰자키 역이 개업하였으며, 1905년 5월 15일에는 마쓰자키 - 아오야(11.9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도마리 역, 아오야역이 개업하였다.

1907년 4월 28일에는 아오야 - 돗토리 임시 정차장(20.7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무라역, 호기역, 고야마역, 돗토리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1908년 4월 5일 돗토리 - 돗토리 임시 정차장(1.77km)구간과 요나고 - 야스기(8.8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기점이 사카이에서 돗토리로 바뀌며 돗토리 - 야스기 구간이 본선, 요나고 - 사카이 구간이 지선이 되었다. 돗토리 역, 야스기 역이 개업하고 돗토리 임시 정차장은 폐지되었다. 11월 8일에는 야스기 - 마쓰에(20.1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아라시마역, 이야역, 마가타 역(현재의 히가시마쓰에 역), 마쓰에 역이 개업하였다.

1909년 3월 1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고,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돗토리 - 요나고 - 마쓰에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 11월 7일에는 마쓰에 - 신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유마치 역(현재의 다마쓰쿠리온센역), 신지 역이 개업하였다.

1910년 6월 10일 이와미 - 돗토리(18.35km)구간과 신지 - 조바라(4.0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 역, 조하라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0일 조하라 - 이즈모이마이치(11.5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시오미 역(현재의 후쿠베역), 나오에역, 미즈모이마이치 역(현재의 이즈모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1년 10월 1일 구만토 역이 다이센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10일 하마사카 - 이와미(14.0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사카 역, 이구미역이 개업하였다.

1912년 1월 3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을 임시 정차장으로 변경시켜 메이와 임시 정차장으로 개업하였다. 3월 1일 가스미 - 하마사카(17.86km)구간이 연장 개업하여 교토 - 이즈모이마이치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고, 교토 선 전선, 한카쿠 선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 반탄 선 후쿠치야마 - 가스미 구간을 산인 본선에 편입시키면서 요로이역, 구타니역이 개업하였다. 3월 2일에는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고, 5월 1일 구라요시 역을 가미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완공된 산인 본선 1933년 노선 지도.


1913년 11월 21일 이즈모이마이치 - 오다(15.4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지미야 역(현재의 니시이즈모 역), 고난 역, 오다 역이 개업하였다.

1915년 3월 10일 시모키타조역이 개업하였고, 3월 31일 요나고 - 야스기 구간에 시미즈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으며, 7월 11일 오다 - 이와미오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다기 역, 하네역, 구테역, 이와미오타 역(현재의 오타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7년 5월 1일 다이센 역을 호키다이센 역으로 개칭하였고, 5월 15일 이와미오타 - 니마(11.7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소타케역, 니마 역이 개업하였다.

1918년 4월 21일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겐부도역이 되었고, 11월 25일 니마 - 아사리(19.1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마지 역, 유노쓰역, 구로마쓰 역, 아사리 역이 개업하였다.

1920년 12월 25일 아사리 - 쓰노즈(10.6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고쓰 역(현재의 고쓰 역), 쓰노즈 역이 개업하였다.

1921년 9월 1일 쓰노즈 - 하마다(14.6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시 역, 시모코역, 하마다 역이 개업하였다.

1922년 3월 10일 하마다 - 스후(9.5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나가하마 역(현재의 니시하마다역), 스후 역이 개업하였고, 9월 1일 스후 - 미호미스미(9.8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미호미스미 역이 개업하였다.

1923년 12월 26일 미호미스미 - 이와미마스다(현재의 마스다, 21.8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야마구치선과 접속하였고, 가마테 역, 이와미쓰다역이 개업하였다.

1924년 4월 1일 오리이역이 개업하였다.

1925년 3월 8일 이와미마스다 - 이와미오바마(9.8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오바마 역(현재의 도다오바마역)이 개업하였고,[73] 7월 6일 고야마 - 호기 구간에 시로사키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며, 10월 10일 시모야마 역이, 11월 1일에는 이와미오바마 역을 도다오바마 역으로 개칭하였다.

1926년 4월 1일 오카미역이 개업하였고, 9월 16일에는 시즈마역이, 9월 17일에는 다이센구치역이 개업하였다.

1927년 6월 19일 도다오바마 - 이노우라(3.7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노우라 역이 개업하였다.

1928년 3월 25일 이노우라 - 스사(12.3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에사키 역, 스사 역이 개업하였고, 7월 4일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현재의 야바세 역)이, 9월 11일에는 스에쓰네 역이, 10월 25일에는 이와미후쿠미쓰역이 개업하였다.

1929년 8월 1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에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고, 12월 25일 기마치 역이 개업하였다.

1930년 4월 1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교토 - 스사 구간은 336.8M → 542.0km)하였고, 화물 지선 마유 - 마유코(1.0km)구간이 개업하여 마유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교토 - 단바구치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31년 7월 18일 모로요세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 1914년 (다이쇼 3년) 4월 22일: '''조슈 철도''' 히가시시모노세키역 - 하타부역 - 오구시역이 개업 (하타부역 - 오구시역 구간은 14.8M≒23.82 km.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아카다고치정류장, 아야라기역, 야스오카역, 후쿠에역, 요시미역, 우메가토게역, 구로이무라역, 가와타나온센역, 오구시역이 개업[74]
  • 1917년 (다이쇼 6년) 3월 1일: 아카다고치 정류장이 폐지[75]
  • 1925년 (다이쇼 14년)
  • * 6월 1일: 하타부역 - 오구시역 구간이 국유화되어, '''오구시 선'''이 됨[76]。전 노선에서 0.1M (≒0.16 km) 단축. 기관차 4량, 객차 10량, 화차 23량을 인수[77]
  • * 8월 16일: 오구시역 - 다키베역 구간 (9.4M≒15.13 km)이 연장 개업. 유다마역, 나가토후타미역, 다키베역이 개업.
  • 1928년 (쇼와 3년) 9월 9일: 다키베역 - 아가와역 구간 (4.8M≒7.72 km)이 연장 개업. 고토이역과 아가와역이 개업.
  • 1930년 (쇼와 5년) 4월 1일: 영업 거리의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 (28.9M→46.4 km).
  • 1924년 (다이쇼 13년) 11월 3일: '''미네 선''' 쇼메이시 역 (현재의 나가토시 역) - 나가토미스미 역 간 (3.2M≒5.15 km)이 연장 개업. 나가토미스미 역이 개업.
  • 1925년 (다이쇼 14년)
  • * 4월 3일: 나가토미스미 역 - 하기 역 간 (11.6M≒18.67 km)이 연장 개업. 미미 역, 타마에 역, 하기 역이 개업.
  • * 11월 1일: 하기 역 - 히가시하기 역 간 (2.3M≒3.70 km)이 연장 개업. 히가시하기 역이 개업.
  • 1928년 (쇼와 3년) 12월 9일: 지선인 쇼메이시 역 - 키바코 역 간 (3.3M≒5.31 km)이 개업. 키바코 역이 개업.
  • 1929년 (쇼와 4년)
  • * 4월 24일: 히가시하기 역 - 나고 역 간 (7.4M≒11.91 km)이 연장 개업. 나가토오이 역과 나고 역이 개업.
  • * 10월 13일: 지선인 키바코 역 - 나가토후루이치 역 간 (2.5M≒4.02 km)이 연장 개업. 나가토후루이치 역이 개업.
  • 1930년 (쇼와 5년)
  • * 4월 1일: 영업 거리의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 (쇼메이시 역 - 나고 역 간 24.5M→39.4 km, 쇼메이시 역 - 나가토후루이치 역 간 5.8M→9.4 km).
  • * 5월 15일: 화물 지선인 쇼메이시 역 - 센자키 역 간 (2.2 km)이 개업. 화물역으로 센자키 역이 개업.
  • * 12월 7일: 나가토후루이치 역 - 아카와 역 간 (18.4 km)이 연장 개업하여 코구시 선에 접속. 히토마루 역, 이가미 역, 나가토아와노 역이 개업.
  • 1931년 (쇼와 6년) 11월 15일: 나고 역 - 우다고 역 간 (11.0 km)이 연장 개업. 키요 역과 우다고 역이 개업.

1933년 2월 24일 스사 - 우다고 구간(8.8km) 연장 개통으로 교토 - 하타부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 미네 선 우다고 - 쇼묘이치 - 아가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고구시 선 전선에 편입되어 교토 - 하타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78] 7월 26일에는 지선 조묘이치 - 센자키 구간에 여객 영업이 개시되었다.

1935년 5월 1일 유사토 역이 개업하였고, 7월 20일에는 우미호리 역, 나미카와 역, 지요카와 역, 요시토미 역이 개업하였다. 10월 1일에는 아스오카 - 아야라기 구간에 가지쿠리 역이 개업하였다.

1936년 4월 15일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호즈쿄 역이 되었다. 1937년 4월 10일에는 노기 역이 개업하였다.

1938년 6월 1일 모로요세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모로요세 역이 되었고, 8월 20일 야바세 역을 히가시야바세 역으로 개칭하고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야바세 역이 되었다.

1941년 8월 10일 요시토미 역·가지쿠리 역이 휴지되었다. 1943년 10월 1일 시오미 - 돗토리 구간에 다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5년 5월 30일 아야라기 - 하타부 구간에 히에다 신호장이 개설되었다가 11월 14일 폐지되었다. 1946년 4월 25일 와치 - 야마가 구간에 다치기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7년 이와미마스다 - 도다오바마 구간에 경마장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나 폐지일은 불명이다. 6월 26일 시바야마 역이 개업하였고, 11월 1일 다치기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다치기 역이 되었다.

1948년 10월 13일 고쿠후 역이 개업하였다. 1949년 3월 1일 시오미 역을 후쿠부 역으로, 5월 11일 유마치 역을 다마쓰쿠리 온천역으로, 12월 15일 히가시야바세 역을 우라야스 역으로, 이와미하마다 역을 니시하마다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0년 1월 1일 히가시하마 역·오이와 역이 개업하였다. 1951년 10월 1일 요시토미 역이 재개업하였고, 11월 1일 나카야마구치 역이 개업하였다. 1953년 10월 10일 후나오카 역이 개업하였다.

1955년 2월 10일 메이와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메이와 역이 되었고, 8월 1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하마다코(2.3km)구간이 개업하고 하마다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1957년 2월 11일 야세리 역이 개업하였고, 4월 1일 이즈모이마이치 역을 이즈모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2월 12일 다카쓰 역, 7월 19일 우가혼고 역이 개업하였다.

1959년 3월 1일 구시로 역, 4월 1일 우야가와 역, 4월 16일 아마루베 역이 개업하였다. 1960년 4월 1일 고시가하마 역이 개업하였다.

1962년 11월 1일 쇼묘이치 역이 나가토시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22일 호키다이센 - 요나고 구간에 히노가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2월 1일 히노가와 신호장 - 요나고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63년 6월 1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64년 1월 21일 이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일 시미즈지 임시 정차장이 폐지되고 시미즈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6년 10월 1일 이와미마스다 역을 마스다 역으로 개칭하고, 호키다이센 - 히노가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히노가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1968년 9월 18일 아야베 - 이사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9월 23일 요카 - 에바라 구간에 슈쿠나미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9년 3월 1일 시로사기 신호장이 폐지되었고, 9월 26일 이사 - 후쿠치야마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70년 2월 21일 다마쓰쿠리 온천 - 기마치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6월 1일 이와미고쓰 역을 고쓰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1년 2월 1일 이와미오타 역을 오타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2년 2월 14일 가미이 역을 구라요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3년 4월 1일 마유 역을 히가시마쓰에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5년 4월 1일 화물지선 히가시마쓰에 - 마유코(1.0km)구간 및 화물역인 마유코 역이 폐지되었다.

1976년 3월 16일 교토 - 니조 구간이 고가화되고 단바구치 역이 이전되었다. 12월 1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아이다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77년 3월 10일 마쓰에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고, 1978년 11월 8일 돗토리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다.

1979년 10월 31일 히가시마쓰에 - 마쓰에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80년 8월 31일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재해로 불통되었다가 10월에 복구되었지만 다시 불통되었다. 1981년 3월 5일 다시 토사붕괴가 일어나 불통되었던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복구되었다.

1982년 6월 18일 시미즈지 신호장 - 야스기 구간, 6월 24일 요나고 - 시미즈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시미즈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7월 1일 호키다이센 - 지미야 구간이 전철화되어 특급 야쿠모 전동차화되었고, 진자이 역(현재의 이즈모진자이 역)이 개업하였다. 11월 7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 하마다코(2.3km)구간 및 화물역인 하마다코 역이 폐지되었다.

1985년 7월 27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임시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86년 8월 1일 폐지되었다. 10월 29일 후쿠치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11월 1일 나가토시 - 하타부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으며, 임시역인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폐지되었다. 12월 28일 요로이 - 아마루베 구간의 아마루베 철교에서 회송중이던 객차가 추락하는 산인 선 아마루베 철교 열차 추락 사고가 발생하였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산인 본선을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하였다. 일본화물철도가 단바구치 - 니조 구간과 고야마 - 이즈모시 구간, 고쓰 - 마스다 구간에서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되었다. 니조 - 고야마 구간과 이즈모시 - 고쓰 구간,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88년 3월 13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고,[185] 교토 - 소노베 구간에 '''사가노 선'''이라는 애칭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9년 3월 5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을 복선화하는 과정에서 신선으로 건설하여 영업 거리가 1.6km 단축되었고, 열차 운행이 폐지된 구선은 보존되었다. 3월 11일 우즈마사 역이 개업하였다.

1990년 3월 10일 교토 - 소노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6월 1일 철도부 제도가 발족하여 와다야마 - 이구미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도요오카 철도부 관리로, 니시이즈모 - 마스다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하마다 철도부 관리로 이행하였다.[186] 같은 날 도요오카 - 돗토리 구간과 이즈모시 - 마스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7]

1991년 4월 1일 제2차 철도부의 발족과 동시에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마이즈루 철도부 관리로, 이구미 - 호키다이센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돗토리 철도부 관리로, 마스다 - 하타부 구간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이 히로시마 지사 관할에서 나가토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88] 같은 날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과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9] 4월 2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의 구선이 사가노 관광 철도 사가노 관광선으로 개업(서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사가노 관광 철도가 제2종 철도사업자)하였다. 11월 1일 나가토시 - 시모노세키 구간, 12월 1일 돗토리 - 요나고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91]

1992년 4월 1일 요나고 - 니시이즈모 구간이 요나고 지사 직할에서 이즈모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92] 1993년 3월 18일 히가시야마 공원역이 개업하였고, 지미야 역을 니시이즈모 역으로, 진자이 역을 이즈모진자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7월 23일

2. 1. 교토 철도 → 교토 선

1897년 2월 15일, 교토 철도는 니조역 - 사가(현재의 사가아라시야마역) 구간(6.14km)을 개통하고 니조 역과 사가 역을 개업하였다. 같은 해 4월 27일에는 오미야 - 니조(3.30km) 구간을 연장 개통하고 오미야 역과 단바구치역을 개업하였으며, 11월 16일에는 교토 - 오미야(0.76km) 구간을 연장 개통하여 관설 철도(국철) 교토 선에 편입되었다.

1898년 1월 1일에는 하나조노 역이 개업하였다. 1899년 8월 1일 오미야 역이 폐지되었고, 8월 15일에는 사가 - 소노베 (25.53km)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가메오카역, 야기 역, 소노베 역이 개업하였다.

1902년 11월 12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체인에서 마일로 변경하였다. 1905년 1월 15일에는 오미야 역이 재개업하였으나, 1911년 9월 16일 다시 폐지되었다.

1907년 8월 1일, 교토 철도는 국유화되었고,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교토 - 소노베 구간이 '''교토 선'''이 되었다. 1910년 8월 25일에는 소노베 - 아야베 (42.00km)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히요시 역, 고미 역, 와치역, 야마이에 역이 개업하였다.

2. 2. 한카쿠 선(후쿠치야마-아야베 구간)

1904년 11월 3일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현재의 히가시마이즈루역)구간이 개통(후쿠치야마 - 아야베 구간은 12.39km). 한카쿠 철도가 관할했으며,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아야베 역, 이사 역, 후쿠치야마 역이 개업했다.

1907년 8월 1일 : 한카쿠 철도의 국유화.

1909년 10월 12일 : 노선 명칭 개정으로 가미사키(현재의 아마가사키 역) -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 구간이 '''한카쿠 선'''이 되었다.

2. 3. 반탄 선(후쿠치야마-가스미 구간)

1908년 7월 1일, 와다야마 - 요카 구간(12.07km)이 개통되면서 야부 역과 요카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7월 10일에는 요카 - 도요오카 구간(17.22km)이 연장 개통되어 에바라 역과 도요오카 역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9월 5일, 도요오카 - 기노사키 구간(9.66km)이 연장 개통되면서 기노사키 역(현재의 기노사키 온천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시카마 - 히메지 - 와다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반탄 선으로 지정되었다.

1911년 10월 25일, 기노사키 - 가스미 구간(22.05km)과 와다야마 - 후쿠치야마 지선(30.58km)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이로써 가미카와구치 역, 시모야쿠노 역, 가미야쿠노 역, 야나세 역, 다케노 역, 사쓰 역, 가스미 역이 새롭게 영업을 시작했다.

2. 4. 산인 본선(전 구간 개통 이전)

1902년 11월 1일 사카이(현재의 사카이미나토역) - 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이 개통(요나고 - 미쿠리야 구간은 19.41km)되고[68], 현재의 산인 본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요나고 역, 요도에역, 미쿠리야 역이 개업하였다. 12월 1일에는 구만토 역(현재의 호키다이센역)이 개업하였다.[69]

1903년에는 8월 28일 미쿠리야 - 야바세(17.70km)구간이 연장 개업하면서[70] 시모이치역, 아카사키역, 야바세 역(현재의 우라야스 역)이 개업하였고, 12월 20일 야바세 - 구라요시(15.61km)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71] 유라 역, 구라요시 역이 개업하였다.

1904년 3월 15일에는 구라요시 - 마쓰자키(5.47km)구간이 연장 개통되고[72] 마쓰자키 역이 개업하였으며, 1905년 5월 15일에는 마쓰자키 - 아오야(11.9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도마리 역, 아오야역이 개업하였다.

1907년 4월 28일에는 아오야 - 돗토리 임시 정차장(20.7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무라역, 호기역, 고야마역, 돗토리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1908년 4월 5일 돗토리 - 돗토리 임시 정차장(1.77km)구간과 요나고 - 야스기(8.8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기점이 사카이에서 돗토리로 바뀌며 돗토리 - 야스기 구간이 본선, 요나고 - 사카이 구간이 지선이 되었다. 돗토리 역, 야스기 역이 개업하고 돗토리 임시 정차장은 폐지되었다. 11월 8일에는 야스기 - 마쓰에(20.1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아라시마역, 이야역, 마가타 역(현재의 히가시마쓰에 역), 마쓰에 역이 개업하였다.

1909년 3월 1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고, 10월 12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돗토리 - 요나고 - 마쓰에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 11월 7일에는 마쓰에 - 신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유마치 역(현재의 다마쓰쿠리온센역), 신지 역이 개업하였다.

1910년 6월 10일 이와미 - 돗토리(18.35km)구간과 신지 - 조바라(4.0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 역, 조하라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0일 조하라 - 이즈모이마이치(11.5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시오미 역(현재의 후쿠베역), 나오에역, 미즈모이마이치 역(현재의 이즈모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1년 10월 1일 구만토 역이 다이센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10일 하마사카 - 이와미(14.0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마사카 역, 이구미역이 개업하였다.

1912년 1월 31일 메이와 임시 승강장을 임시 정차장으로 변경시켜 메이와 임시 정차장으로 개업하였다. 3월 1일 가스미 - 하마사카(17.86km)구간이 연장 개업하여 교토 - 이즈모이마이치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고, 교토 선 전선, 한카쿠 선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 반탄 선 후쿠치야마 - 가스미 구간을 산인 본선에 편입시키면서 요로이역, 구타니역이 개업하였다. 3월 2일에는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고, 5월 1일 구라요시 역을 가미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13년 11월 21일 이즈모이마이치 - 오다(15.4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지미야 역(현재의 니시이즈모 역), 고난 역, 오다 역이 개업하였다.

1915년 3월 10일 시모키타조역이 개업하였고, 3월 31일 요나고 - 야스기 구간에 시미즈지 임시 승강장이 개업하였으며, 7월 11일 오다 - 이와미오타(17.06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다기 역, 하네역, 구테역, 이와미오타 역(현재의 오타시 역)이 개업하였다.

1917년 5월 1일 다이센 역을 호키다이센 역으로 개칭하였고, 5월 15일 이와미오타 - 니마(11.7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소타케역, 니마 역이 개업하였다.

1918년 4월 21일 겐부도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겐부도역이 되었고, 11월 25일 니마 - 아사리(19.1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마지 역, 유노쓰역, 구로마쓰 역, 아사리 역이 개업하였다.

1920년 12월 25일 아사리 - 쓰노즈(10.6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고쓰 역(현재의 고쓰 역), 쓰노즈 역이 개업하였다.

1921년 9월 1일 쓰노즈 - 하마다(14.65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하시 역, 시모코역, 하마다 역이 개업하였다.

1922년 3월 10일 하마다 - 스후(9.5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나가하마 역(현재의 니시하마다역), 스후 역이 개업하였고, 9월 1일 스후 - 미호미스미(9.82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미호미스미 역이 개업하였다.

1923년 12월 26일 미호미스미 - 이와미마스다(현재의 마스다, 21.8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야마구치선과 접속하였고, 가마테 역, 이와미쓰다역이 개업하였다.

1924년 4월 1일 오리이역이 개업하였다.

1925년 3월 8일 이와미마스다 - 이와미오바마(9.81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와미오바마 역(현재의 도다오바마역)이 개업하였고,[73] 7월 6일 고야마 - 호기 구간에 시로사키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며, 10월 10일 시모야마 역이, 11월 1일에는 이와미오바마 역을 도다오바마 역으로 개칭하였다.

1926년 4월 1일 오카미역이 개업하였고, 9월 16일에는 시즈마역이, 9월 17일에는 다이센구치역이 개업하였다.

1927년 6월 19일 도다오바마 - 이노우라(3.70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이노우라 역이 개업하였다.

1928년 3월 25일 이노우라 - 스사(12.39km)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에사키 역, 스사 역이 개업하였고, 7월 4일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현재의 야바세 역)이, 9월 11일에는 스에쓰네 역이, 10월 25일에는 이와미후쿠미쓰역이 개업하였다.

1929년 8월 1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에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고, 12월 25일 기마치 역이 개업하였다.

1930년 4월 1일 영업 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교토 - 스사 구간은 336.8M → 542.0km)하였고, 화물 지선 마유 - 마유코(1.0km)구간이 개업하여 마유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교토 - 단바구치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31년 7월 18일 모로요세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다.

이 노선은 세 개의 서로 다른 민간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국유화되어 일본국유철도(JGR)에 의해 연결되었다. 교토 철도는 1897년에서 1899년 사이에 소노베까지 구간을 개통했고, 반츠루 철도는 1904년 아야베역에서 후쿠치야마 구간(현재 마이즈루선의 일부)을 개통했다. 두 회사는 1907년에 국유화되었다.

JGR에 의해 처음 개통된 구간은 1902년 요나고와 미쿠리야 사이였으며, 이후 노선은 점차 동쪽으로 연장되어 1907년 돗토리, 1908년 이와미에 도달했으며, 같은 해에 현재의 반탄선이 와다야마와 요카까지 개통되었다. 이 노선의 건설은 서쪽으로 계속되었고, 두 노선은 1912년에 연결되었다. 그동안 소노베에서 아야베 구간은 1910년에 개통되었고, 후쿠치야마에서 와다야마 구간은 그 다음 해에 개통되었다. 또한 요나고에서 서쪽으로의 건설이 진행되어 1908년 마쓰에, 1910년 이즈모시에 개통되었으며, 1912년에 언급된 연결로 385km의 연속 노선이 완성되었다. 서쪽 끝에서는 1914년 조슈 철도가 하타부에서 고구시 구간을 개통했다. 이즈모시에서 건설은 점차 서쪽으로 계속되어 1923년 마스다, 1925년 토다코하마에 개통되었으며, 이 해에 조슈 철도가 국유화되고 고구시에서 타키베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양방향에서 건설이 계속되어 1933년에 두 구간이 연결되어 현재의 노선이 완성되었다.

2. 5. 전 구간 개통 이후

1933년 2월 24일 스사 - 우다고 구간(8.8km) 연장 개통으로 교토 - 하타부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 미네 선 우다고 - 쇼묘이치 - 아가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고구시 선 전선에 편입되어 교토 - 하타부 구간과 쇼묘이치 - 센자키 구간이 '''산인 본선'''이 되었다.[78] 7월 26일에는 지선 조묘이치 - 센자키 구간에 여객 영업이 개시되었다.

1935년 5월 1일 유사토 역이 개업하였고, 7월 20일에는 우미호리 역, 나미카와 역, 지요카와 역, 요시토미 역이 개업하였다. 10월 1일에는 아스오카 - 아야라기 구간에 가지쿠리 역이 개업하였다.

1936년 4월 15일 마쓰오야마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호즈쿄 역이 되었다. 1937년 4월 10일에는 노기 역이 개업하였다.

1938년 6월 1일 모로요세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모로요세 역이 되었고, 8월 20일 야바세 역을 히가시야바세 역으로 개칭하고 야바세하마 임시 정차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야바세 역이 되었다.

1941년 8월 10일 요시토미 역·가지쿠리 역이 휴지되었다. 1943년 10월 1일 시오미 - 돗토리 구간에 다키야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5년 5월 30일 아야라기 - 하타부 구간에 히에다 신호장이 개설되었다가 11월 14일 폐지되었다. 1946년 4월 25일 와치 - 야마가 구간에 다치기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47년 이와미마스다 - 도다오바마 구간에 경마장 임시 정차장이 개업하였으나 폐지일은 불명이다. 6월 26일 시바야마 역이 개업하였고, 11월 1일 다치기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다치기 역이 되었다.

1948년 10월 13일 고쿠후 역이 개업하였다. 1949년 3월 1일 시오미 역을 후쿠부 역으로, 5월 11일 유마치 역을 다마쓰쿠리 온천역으로, 12월 15일 히가시야바세 역을 우라야스 역으로, 이와미하마다 역을 니시하마다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0년 1월 1일 히가시하마 역·오이와 역이 개업하였다. 1951년 10월 1일 요시토미 역이 재개업하였고, 11월 1일 나카야마구치 역이 개업하였다. 1953년 10월 10일 후나오카 역이 개업하였다.

1955년 2월 10일 메이와 신호장이 역으로 승격되어 메이와 역이 되었고, 8월 1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하마다코(2.3km)구간이 개업하고 하마다코 역이 화물역으로 개업하였다.

1957년 2월 11일 야세리 역이 개업하였고, 4월 1일 이즈모이마이치 역을 이즈모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2월 12일 다카쓰 역, 7월 19일 우가혼고 역이 개업하였다.

1959년 3월 1일 구시로 역, 4월 1일 우야가와 역, 4월 16일 아마루베 역이 개업하였다. 1960년 4월 1일 고시가하마 역이 개업하였다.

1962년 11월 1일 쇼묘이치 역이 나가토시 역으로 개칭되었고, 11월 22일 호키다이센 - 요나고 구간에 히노가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2월 1일 히노가와 신호장 - 요나고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63년 6월 1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64년 1월 21일 이 역이 개업하였고, 10월 1일 시미즈지 임시 정차장이 폐지되고 시미즈지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6년 10월 1일 이와미마스다 역을 마스다 역으로 개칭하고, 호키다이센 - 히노가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히노가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1968년 9월 18일 아야베 - 이사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9월 23일 요카 - 에바라 구간에 슈쿠나미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69년 3월 1일 시로사기 신호장이 폐지되었고, 9월 26일 이사 - 후쿠치야마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70년 2월 21일 다마쓰쿠리 온천 - 기마치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6월 1일 이와미고쓰 역을 고쓰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1년 2월 1일 이와미오타 역을 오타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2년 2월 14일 가미이 역을 구라요시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3년 4월 1일 마유 역을 히가시마쓰에 역으로 개칭하였다. 1975년 4월 1일 화물지선 히가시마쓰에 - 마유코(1.0km)구간 및 화물역인 마유코 역이 폐지되었다.

1976년 3월 16일 교토 - 니조 구간이 고가화되고 단바구치 역이 이전되었다. 12월 1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아이다니 신호장이 개설되었다. 1977년 3월 10일 마쓰에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고, 1978년 11월 8일 돗토리 역 부근이 고가화되었다.

1979년 10월 31일 히가시마쓰에 - 마쓰에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80년 8월 31일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재해로 불통되었다가 10월에 복구되었지만 다시 불통되었다. 1981년 3월 5일 다시 토사붕괴가 일어나 불통되었던 나고 - 나가토오이 구간이 복구되었다.

1982년 6월 18일 시미즈지 신호장 - 야스기 구간, 6월 24일 요나고 - 시미즈지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시미즈지 신호장이 폐지되었다. 7월 1일 호키다이센 - 지미야 구간이 전철화되어 특급 야쿠모 전동차화되었고, 진자이 역(현재의 이즈모진자이 역)이 개업하였다. 11월 7일 화물지선 니시하마다 - 하마다코(2.3km)구간 및 화물역인 하마다코 역이 폐지되었다.

1985년 7월 27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임시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86년 8월 1일 폐지되었다. 10월 29일 후쿠치야마 - 기노사키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11월 1일 나가토시 - 하타부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으며, 임시역인 기리하마카이스이요쿠조 역이 폐지되었다. 12월 28일 요로이 - 아마루베 구간의 아마루베 교량에서 회송중이던 객차가 추락하는 산인 선 아마루베 철교 열차 추락 사고가 발생하였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산인 본선을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하였다. 일본화물철도가 단바구치 - 니조 구간과 고야마 - 이즈모시 구간, 고쓰 - 마스다 구간에서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되었다. 니조 - 고야마 구간과 이즈모시 - 고쓰 구간,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1988년 3월 13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고,[185] 교토 - 소노베 구간에 '''사가노 선'''이라는 애칭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9년 3월 5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을 복선화하는 과정에서 신선으로 건설하여 영업 거리가 1.6km 단축되었고, 열차 운행이 폐지된 구선은 보존되었다. 3월 11일 우즈마사 역이 개업하였다.

1990년 3월 10일 교토 - 소노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6월 1일 철도부 제도가 발족하여 와다야마 - 이구미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도요오카 철도부 관리로, 니시이즈모 - 마스다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하마다 철도부 관리로 이행하였다.[186] 같은 날 도요오카 - 돗토리 구간과 이즈모시 - 마스다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7]

1991년 4월 1일 제2차 철도부의 발족과 동시에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관할에서 마이즈루 철도부 관리로, 이구미 - 호키다이센 구간이 요나고 지사 관할에서 돗토리 철도부 관리로, 마스다 - 하타부 구간과 나가토시 - 센자키 구간이 히로시마 지사 관할에서 나가토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88] 같은 날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과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89] 4월 27일 사가 - 우마호리 구간의 구선이 사가노 관광 철도 사가노 관광선으로 개업(서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사가노 관광 철도가 제2종 철도사업자)하였다. 11월 1일 나가토시 - 시모노세키 구간, 12월 1일 돗토리 - 요나고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191]

1992년 4월 1일 요나고 - 니시이즈모 구간이 요나고 지사 직할에서 이즈모 철도부 관리로 이행되었다.[192] 1993년 3월 18일 히가시야마 공원역이 개업하였고, 지미야 역을 니시이즈모 역으로, 진자이 역을 이즈모진자이 역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7월 23일 - 8월 16일 다케노 - 사쓰 구간에 임시역으로 기리하마비치 역이 개업하였고,[193] 이후 1996년까지 하계에 운영되었다. 8월 1일 하마다 - 마스다 구간에서 키하 120계 기동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194] 9월 4일 사가 역을 사가아라시야마 역으로 개칭하였고, 9월 23일 교토 - 단바구치 구간에 임시역으로 녹화 페어 우메코지 역이 개업하여 같은 해 11월 20일까지 영업하였다.[195]

1995년 4월 20일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7월 27일 돗토리대학 앞역이 개업하였다. 1996년 3월 16일 소노베 - 아야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니조 - 하나조노 구간이 고가화되었으며, 도노다 역을 히요시 역으로 개칭하고 신큐대학 앞역이 개업하였다. 단바구치 - 니조 구간과 요나고 - 히가시마쓰에 구간의 화물 열차 설정이 폐지되었다. 8월 21일 임시역인 기리하마비치 역이 폐지되었다.[196]

1997년 3월 22일 고쓰 - 오카미 구간의 화물 열차 설정이 폐지되었고, 10월 1일 고야마 - 호키다이센 구간의 화물 열차 설정이 폐지되었다. 1998년 3월 14일 이즈모시 역 근처가 고가화되었다.

1999년 3월 13일 이즈모다이샤 역을 이즈모진자이 역으로 개칭하였고, 10월 2일 후쿠치야마에서의 특급 그린 요금 환물 통산 제도를 도입하였다.[197]

2000년 9월 23일 니조 - 하나조노 구간이 복선화되고 엔마치 역이 개업하였다.[198] 2001년 3월 3일 후쿠치야마 - 도요오카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고,[199] 7월 7일 요나고 - 마스다 구간의 고속화 공사가 완료되어 요나고 - 이즈모시 구간에서 1인 승무가 개시되었다.[200]

연월일 불명이나 고구시 - 하타부 구간이 나가토 철도부에서 시모노세키 지역 철도부 관리로 이관되었다. 2002년 8월 30일 후쿠치야마 - 이구미 구간에 소규모 선구 자동진로제어장치(SRC)가 도입되었다.[201]

2003년 10월 1일 돗토리 - 요나고 구간의 고속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2004년 4월 1일 일본화물철도의 제2종 철도사업자(고야마 - 호키다이센 구간)가 폐지되었다.

2005년 3월 1일 기노사키 역을 기노사키 온천역으로 개칭하였고,[202] 11월 26일 후쿠치야마 역 근처가 고가화되었다.[203] 연월일 불명이나 마이즈루 철도부의 폐지로 소노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후쿠치야마 철도부 직할로 돌아갔다.[204]

2006년 4월 1일 일본화물철도의 제2종 철도사업자(단바구치 - 니조 구간, 히가시마쓰에 - 이즈모시 구간, 고쓰 - 오카미 구간)가 폐지되었다. 2008년 3월 15일 가지쿠리고다이치 역이 개업하였고, 3월 23일 하나조노 - 우즈마사 구간, 5월 25일 우즈마사 - 사가아라시야마 구간이 고가화되었다. 12월 14일 우마호리 - 가메오카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05]

2009년 3월 14일 야기 - 소노베 구간, 7월 20일 교토 - 단바구치 구간,[207] 9월 6일 나미카와 - 야기 구간,[208] 11월 1일 가메오카 - 나미카와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09]

2010년 1월 31일 단바구치 - 니조 구간,[210] 3월 7일 하나조노 - 사가아라시야마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11] 7월 17일 - 8월 11일 아마루베 교량의 보강 작업으로 가스미 - 하마사카 구간이 운휴하여 버스 대행수송이 실시되었고, 8월 12일 콘크리트로 보강한 아마루베 교량의 공용이 개시되었다.

2011년 6월 1일 도요오카 철도부의 폐지로[212] 와다야마 - 이구미 구간이 후쿠치야마 지사 직할로 돌아갔다.[213]

3. 노선 정보

산인 본선은 총 연장 676.0km(지선 포함)의 노선이다.[181] 관리 및 노선 거리(영업 거리)는 다음과 같다.



궤간은 1067mm(협궤)이다.[180] 역 수는 160개(시종점 포함. 사가노 관광 철도의 역은 제외)이다. 산인 본선 소속 역에 한한 경우, 도카이도 본선 소속의 교토 역과 산요 본선 소속의 하타부 역을 제외하면 158역이다.

복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 교토 - 소노베 간(사가아라시야마 - 우마호리 간은 구선을 포함해 일부 구간이 3선이고, 구선은 사가노 관광 철도가 제2종 철도 사업자로써 도롯코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180]
  • 아야베 - 후쿠치야마 간
  • 호키다이센 - 야스기 간
  • 히가시마쓰에 - 마쓰에 간
  • 다마쓰쿠리 온천 - 기마치 간


전철화 구간은 다음과 같다.

  • 교토 - 기노사키 온천 간, 호키다이센 - 니시이즈모 간(직류 1500V)[180]


폐색 방식은 다음과 같다.

최고속도는 다음과 같다.

운전 지령소는 다음과 같다.

지선을 포함한 각 철도부의 관리는 다음과 같다.[181]

  • 교토 - 소노베 간 : 서일본 여객철도 긴키 총괄본부
  • 소노베 - 이구미 간(소노베역 구내 이후) :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치야마 지사
  • 이구미 - 아카사키 간(이구미 역 구내 이후) : 서일본 여객철도 요나고 지사 돗토리 철도부
  • 아카사키 - 다기 간(아카사키 역 구내 이후) : 요나고 지사 (직할)
  • 다기 - 마스다 간(다기 역 구내 이후) : 요나고 지사 하마다 철도부
  • 마스다 - 고구시 간(양단의 역 구내 이후), 나가토시 - 센자키 간 : 히로시마 지사 나가토 철도부
  • 고구시 - 하타부 간 : 히로시마 지사 시모노세키 지역 철도부

4. 운행 형태

교토역 - 돗토리역 간에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돗토리 - 마스다 구간에서는 최근의 고속화 공사로 신형 특급 열차가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돗토리 이서로는 돗토리·요나고·마스다 등을 연결하는 도시간 연락 특급열차가 아래와 같이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마쓰카제 (돗토리 - 요나고·마스다 간)
  • 특급 슈퍼 오키 (돗토리·요나고 - 신야마구치 간)


인요 연락 노선에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하쿠토 (교토 - 돗토리·구라요시 간/지즈 급행선, 인비 선 경유)
  • 특급 야쿠모 (오카야마 - 이즈모시 간/하쿠비 선 경유)


야간 열차로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4. 1. 우등 열차

이전에는 교토·오사카 또는 도쿄 방면에서 돗토리 이서를 이어주는 열차는 산인 본선와다야마역 - 돗토리 역 간을 경유하였지만, 도쿄 방면의 경우 쓰야마 선·인비 선을 경유하거나 오카야마역을 경유하는 경로가 메인 루트였다. 지즈 급행이 개통하면서 지즈 급행선을 이용한 루트를 취하기 시작했다. 현재, 교토·오사카부터의 특급은 대부분의 전동차는 기노사키 온천역까지만 운행한다.

교토역 - 돗토리역 간에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돗토리 - 마스다 구간에서는 최근의 고속화 공사로 신형 특급 열차가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돗토리 이서로는 돗토리·요나고·마스다 등을 연결하는 도시간 연락 특급열차가 아래와 같이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마쓰카제 (돗토리 - 요나고·마스다 간)
  • 특급 슈퍼 오키 (돗토리·요나고 - 신야마구치 간)


인요 연락 노선에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특급 슈퍼 하쿠토 (교토 - 돗토리·구라요시 간/지즈 급행선, 인비 선 경유)
  • 특급 야쿠모 (오카야마 - 이즈모시 간/하쿠비 선 경유)


야간 열차로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4. 1. 1. 현행 정기 열차

교토역 - 돗토리역 간에는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정기 열차, 산인 본선 경유분만 기재. 야간 열차는 후술)
음양 연락 특급으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이들 열차는 교토역, 신오사카역에서 도카이도 신칸센, 히메지역・오카야마역에서 산요 신칸센과 연결된다.
돗토리역 - 마스다역 간은 최근의 고속화 공사 등으로 인해, 신형 차량의 특급을 등장시키기에 이르렀지만, 그 한편으로 마스다역 - 하타부역 간은 "이소카제" 폐지 이후, 우등 열차는 없어졌다. 돗토리역 이서에 관해서는, 돗토리역, 요나고역, 마스다역 등을 잇는 도시 간 연락 특급으로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돗토리역 - 이즈모시역 간에서 120km/h, 이즈모시역 - 마스다역 간에서 110km/h 운전을 하고 있다.

  • 8. 돗토리역・요나고역 이서의 열차
  • 돗토리역 - 마스다역 간
  • 특급 "슈퍼 오키" (돗토리역・요나고역 - 신야마구치역)…야마구치 선 경유 2001년 -
  • 특급 "슈퍼 마쓰카제" (돗토리역 - 요나고역, 마스다역)…2003년 -

이 외에도, 야간 열차로 아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오사카역발 급행 "다이센" (오사카역 - 요나고역)이 2004년 10월 16일에, 또한 도쿄역발 침대 특급 "이즈모" (도쿄역 - 이즈모시역)가 2006년 3월 18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된 후에는, 하쿠비선 경유의 열차만 운행되고 있다.
운전 구간에 보통 열차 구간을 포함한다. 복수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동시기에 운전되었을 가능성은 없다. 현행 구간의 역명은 운전 중단 구간과의 접속역 이외에는 생략한다.

4. 1. 2. 과거의 열차


  • 아사시오 (교토 - 요나고 간/일부 열차 마이즈루선 경유): 1972년 - 1996년[182]
  • 마쓰카제 (교토 - 하카타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2년 - 1986년
  • 야쿠모 (신오사카 - 하마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5년 - 1972년
  • 에델 기타킨키 (오사카 - 하마사카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90년 - 1999년
  • 에델 돗토리 (오사카 - 구라요시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90년 - 1999년
  • 하쿠토 (교토 - 구라요시 간, 이후 신오사카 - 돗토리 간/지즈 급행선/인비선 경유): 1994년 - 1997년 (슈퍼 하쿠토로 편입)
  • 이나바 (돗토리 - 요나고 간): 1996년 - 2001년 (구니비키로 편입)
  • 구니비키 (돗토리 - 마스다 간): 1988년 - 2001년 (슈퍼 구니비키로 개칭)
  • 슈퍼 구니비키 (돗토리 - 마스다 간): 2001년 - 2003년 (슈퍼 마쓰카제로 개칭)
  • 이소카제 (요나고 - 하카타 간): 1985년 - 2005년
  • 슈퍼 야쿠모 (오카야마 - 이즈모시간/하쿠비선 경유): 1994년 - 2006년 (야쿠모로 통일)
  • 오키 (신오사카 - 이즈모시 간/하쿠비선 경유): 1971년 - 1972년
  • 오키 (돗토리 - 오고리 간, 요나고 - 시모노세키 간/야마구치선 경유): 1975년 - 2001년 (슈퍼 오키로 개칭)
  • 침대특급
  • * 이나바 (도쿄 - 요나고 간): 1975년 - 1978년 (이즈모로 편입)
  • * 이즈모 (도쿄 - 하마다): 1972년 - 2006년
  • 급행(주요 열차, 운행 구간은 보통 운행 구간도 포함/운행 기간은 급행 시대)
  • * 단고(교토 - 기노사키[182]·히가시마이즈루·쓰루가·도요오카 간): 1966년 - 1996년
  • * 시로사기(교토 - 이즈모시·다이샤 간): 1961년 - 1986년 (1961년 - 1968년까지는 오사카 - 마쓰에 간 편성 연결)
  • * 단바(오사카 - 기노사키·아마노하시다테 간/일부 열차 미야즈선 경유): 1966년 - 1986년
  • * 다이센(오사카 - 마스다·다이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8년 - 2004년
  • * 시마네(오사카 - 이즈모시·다이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4년 - 1965년
  • * 오키(오사카 - 이즈모시·다이샤 간/후쿠치야마선 경유): 1965년 - 1968년
  • * 다지마(오사카 - 돗토리 간/반탄선 경유): 1966년 - 1996년
  • * 아사시오(가나자와 - 이즈모시 간/오바마선·미야즈선 경유): 1964년 - 1968년 (연결 열차 다이샤로 통합)
  • * 다이샤(가나자와 - 요나고·나고야 - 다이샤 간/오바마선·미야즈선 경유): 1966년 - 1982년 (산인 본선 정기 직통 시대. 가나자와 편성은 원래 아사시오이다)
  • * 미사사(오사카 - 구라요시 간/기신선·인비선 경유): 1966년 - 1985년 (산인 본선 정기 직통 시대. 폐지는 1997년)
  • * 사고가오카(우노 - 아게이 간, 이후엔 오카야마 - 요나고 간): 1968년 - 1991년 (산인 본선 정기 직통 시대. 폐지는 1997년)
  • * 미호(돗토리 - 사카이미나토 간): 1966년 - 1982년
  • * 이와미(돗토리 - 마스다 간): 1966년 - 1985년
  • * 산베(돗토리 - 구마모토 간): 1968년 - 1997년
  • * 시마네(요나고 - 하카타 간): 1965년 - 1968년
  • * 하기(요나고 - 나가토시 간): 1972년 - 1975년 (나가토로 개칭)
  • * 나가토(요나고 - 나가토시 간): 1975년 - 1985년
  • * 하쿠지(오카야마 - 요나고 간): 1975년 - 1982년
  • * 시라기리(요나고 - 히로시마 간/하쿠비선 경유): 1966년 - 1968년 (지도리로 통합. 후에도 하쿠비선 경유는 1972년까지 이어짐.)
  • * 이나바(돗토리 - 히로시마 간/기스키선 경유): 1966년 - 1968년 (지도리로 통합)
  • * 지도리(돗토리 - 히로시마 간/기스키선 경유): 1966년 - 1990년 (산인 본선 직통 시댜. 폐지는 2002년)
  • * 아키요시(고쓰 - 히타 간): 1966년 - 1985년
  • * 나가토(하마다 - 고쿠라 간): 1985년 - 1992년

4. 2. 지역 운송

국철 시대에는 전 구간을 운행하는 장거리 열차를 다수 볼 수 있었으나, 교토발 보통 객차 열차의 행선이 소노베역이나 후쿠치야마역 등으로, 도요오카역, 하마사카역, 돗토리역, 요나고역, 이즈모시역, 하마다역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후쿠치야마 역에서 후쿠치야마 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도 포함)현재는 아래의 구간처럼 상세하게 나뉘고 있다.

교토 - 소노베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각역정차나 쾌속열차는 1인 승무로 운행되고 있다.

국철 시대에는 거의 전 노선을 통해 운행되는 장거리 열차가 많이 운행되었으며, 교토역 발 보통 객차 열차의 행선지만 봐도 소노베역이나 후쿠치야마역뿐만 아니라 도요오카역, 하마사카역, 돗토리역, 요나고역, 이즈모시역, 하마다역 등도 있었으나, 현재는 대략 아래 구간으로 운행 계통이 세분화되어 있다.

주로 중거리·도시 간의 급행 수송을 담당하는 쾌속 열차가 교토역 - 후쿠치야마역 간(쾌속 운전 구간은 교토역 - 가메오카역 간)·돗토리역 - 요나고역 간(쾌속 운전 구간은 돗토리역 - 요나고역 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한편, 소노베역 - 하마사카역 간에서도 2013년부터 일부 정기 보통 열차가 쾌속 열차로 변경되었지만, 이쪽은 이용객이 적은 역을 통과 운전하는 것이다. 쾌속 열차로 변경된 열차도 계속해서 다른 보통 열차와 일체적인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2022년 3월 시간표 개정 전까지는 이즈모시역 - 마스다역 간에서 쾌속 운전을 하는 열차도 존재했다.(자세한 내용은 아쿠아라이너를 참조.)

또한,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구간의 보통 및 쾌속 열차에서 원맨 운전을 하고 있다.

4. 2. 1. 교토-소노베 구간 (사가노선)

사가노 선이라는 애칭이 있다. 어번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이용객 수·열차 운행 수가 많으며, 아침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운송력을 최대로 끌어올려 운용하고 있다. 2010년 3월 7일에는 교토 - 소노베 구간이 복선화(교토 역 구내에서는 단선)공사가 종료되었다.

교토 - 우메코지-교토니시 - 탄바구치 - 니조 - 에마치 - 하나조노 - 우즈마사 - 사가-아라시야마 - 호즈쿄 - 우마호리 - 가메오카 - 나미카와 - 지요카와 - 야기 - 요시토미 - 소노베

사가노선이라는 애칭이 있다. 어반 네트워크 권역 내에 있어 여객 수, 열차 운행 횟수 모두 많으며, 아침 러시 아워의 수송력은 포화 상태에 가깝다. 2010년 3월 7일에 교토역 - 소노베역 간의 복선화(교토역 구내는 단선)가 완성되었다. 교토역 - 소노베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 외에, 교토역 - 사가아라시야마·가메오카역 간의 구간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4. 2. 2. 소노베-후쿠치야마 구간

전철화 및 고속화 공사가 진행되어 특급 소요 시간은 짧은 편이다. 그러나 보통 열차는 느리고 대향 열차와의 교행이나 특급의 추월을 위해 정차 시간이 길고, 구간 내에는 곡선이 많아 속도 제한이 있어 소요 시간은 상당히 긴 편이다.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은 마이즈루 선·오바마 선으로부터 후쿠치야마 선으로 연락하는 특급 릴레이 호가 운행되고 있다. 운행 횟수는 시간당 한두 편 정도이다. 보통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1인 승무가 실시되고 있으며, 2량 편성의 열차는 차장 승무로 운행되는 열차가 있다. 교토 역에서 직통하는 열차는 아침저녁의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는 소노베 - 후쿠치야마 간의 열차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에는 소노베 역에서 사가노 선의 열차와 접속된다. 또한 교토 - 후쿠치야마 구간은 특급 우선도가 높고, 대피선이 갖춰진 역이 많다.[13]

쾌속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하는 완행 열차로 운행되며, 소노베역에서 후쿠치야마역까지 운행한다.

거리
(km)
환승소재지
소노베園部34.2사가노 선난탄교토부
후나오카船岡38.2 
히요시日吉41.9 
신큐다이가쿠마에鍼灸大学前44.3 
고마胡麻47.1 
시모야마下山51.9 교토탄바 , 후나이
와치和知58.6 
아세리安栖里60.7 
다치키立木65.5 
야마가山家69.0 아야베
아야베綾部76.2마이즈루 선
다카쓰高津80.3 
이사石原82.8 후쿠치야마
후쿠치야마福知山88.5


4. 2. 3. 후쿠치야마-도요오카·기노사키온센 구간

(km)환승소재지후쿠치야마福知山88.5{{Plainlist|가미카와구치上川口95.2 시모야쿠노下夜久野102.4 가미야쿠노上夜久野109.8 야나세梁瀬115.6 아사고효고현와다야마和田山119.0
|20px]] 반탄 선야부養父124.2 야부요카八鹿131.2 에바라江原138.7 도요오카고쿠후国府142.4 도요오카豊岡148.4윌러 트레인 미야토요 선겐부도玄武洞153.7 기노사키온센城崎温泉158.0 



산인 본선의 연장선으로 교토 - 소노베 구간보다 먼저 전철화되어, 오사카·교토 방면에서 특급 열차가 많이 운행되고 있지만, 고속화 공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로 후쿠치야마역 - 가미야쿠노역 구간에서는 급곡선이 연속되어 특급 열차도 속도를 낮춰 운행하고 있다. 이 구간에는 대피 열차 대기를 위한 슈쿠나미 신호장이 있다. 1996년 3월 15일까지는 오사카역에서 후쿠치야마 선을 경유하여 직통하던 장거리 보통 열차도 운행되었다. 또한, 2013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는 겐부도을 통과하는 쾌속 열차가 이른 아침 심야 시간대에 운행되었다. 대부분의 보통 열차가 후쿠치야마역에서 회차하며, 일부 열차는 소노베역까지 직통하지만, 오사카·사사야마구치 방면으로의 직통 운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와다야마역 - 기노사키온센역 구간에서는 반탄선의 특급 열차도 운행하고 있는 관계와, 관광 시즌이 되면 임시 열차의 운행 및 승하차에 시간이 소요되어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1~2시간에 1번 정도가 운행되고 있다. 보통 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아침 5시 대에 도요오카 - 기노사키온센역 구간 열차가 있다. 후쿠치야마역 - 도요오카 간의 보통 열차는 기본적으로 전동차가 사용되지만, 와다야마역 - 도요오카 간에는 반탄선과 직통하는 기동차 열차가 아침에 1왕복 설정되어 있다.

4. 2. 4. 도요오카·기노사키온센-하마사카 구간

기노사키 온천 이후로는 비전철화 구간으로, 열차도 한두 시간에 한 편 정도로 로컬선의 성격이 짙다. 또한, 일본에는 세 곳이 존재하는 라티스식 교량인 다케노가와 교량이 있는데, 하마사카역 이전의 다카미가와 교량도 라티스의 흔적이 남아 있다. 구간 중에는 아마루베 철교가 있다. 이 구간에서는 대향 열차를 기다리기 위해 아이다니 신호장이 있다. 보통 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1인 승무를 실시하고 있다. 이 구간의 보통 열차는 기본적으로는 도요오카 착발이다. 이 구간에서 월 1회 보수 운휴(대행수송 버스 없음)를 하는 때도 있다. 과거에는 이 구간에도 특급 기타킨키로의 접속을 목적으로 한 쾌속열차가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각역정차화되었다. 2011년 4월부터는 임시쾌속으로 도요오카·돗토리간에 산인 해안 지오라이너가 토·일요일 등에 운행되고 있다.(올해는 10월까지 예정)[14][15][16][17]

} || align="left" | 158.0 ||  

| rowspan="2" |도요오카

| rowspan="11" |효고

|-

| 다케노 || || align="left" | 166.0 ||  

|-

|삿쓰

|

|173.4



| rowspan="5" |가미, 미카타

|-

|시바야마

|

|175.7



|-

|가스미

|

|180.0



|-

|요로이

|

|185.4



|-

|아마루베

|

|187.2



|-

|구타니

|

|191.8



| rowspan="4" |신온센, 미카타

|-

|하마사카

|

|197.9



|-

|모로요세

|

|199.8



|-

|이구미

|

|204.2



|}

4. 2. 5. 하마사카-돗토리 구간

(km)
거리
(km)
환승위치
기노사키온센{{llang|ja|城崎温泉|} 환승위치
구타니久谷191.8 신온센, 미카타
하마사카浜坂197.9 
모로요세諸寄199.8 
이구미居組204.2 
히가시하마東浜207.5 이와미, 이와미돗토리
이와미岩美211.9 
오이와大岩214.8 
후쿠베福部219.1 돗토리
돗토리鳥取230.3
|20px]] 인비 선



효고현과 돗토리현의 경계를 지나는 구간이어서, 특급 열차인 하마카제(1왕복)를 제외하면 1~2량 편성의 보통 열차만 운행된다(앞 절의 임시 쾌속 열차인 "산인 해안 지오라이너"는 이 구간에서 이와미역에만 중간 정차했다).

보통 열차에는 키하47형 기동차 및 키하121계 기동차가 사용된다. 2018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서 모든 보통 열차가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열차가 하마사카역 - 돗토리역 구간을 운행하지만, 낮 시간대 2왕복은 기노사키 온천 방면과 직통한다. 이 구간에는 스위치백식 정차장인 다키야마 신호장이 있지만, 현재는 대향 열차 대피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다.

4. 2. 6. 돗토리-요나고 구간

(km)환승위치돗토리鳥取230.3인비 선돗토리고야마湖山234.5돗토리대학앞鳥取大学前235.8스에쓰네末恒239.6호기宝木244.7하마무라浜村247.6아오야青谷252.8도마리泊258.9유리하마, 도하쿠마쓰자키松崎264.6구라요시倉吉270.1구라요시시모호조下北条275.2호쿠에이, 도하쿠유라
(코난 역)由良
(コナン駅)280.1우라야스浦安285.8고토우라, 도하쿠야바세八橋287.6아카사키赤碕291.3나카야마구치中山口295.5다이센, 사이하쿠시모이치下市297.7미쿠리야御来屋303.6나와名和304.7다이센구치大山口308.8요도에淀江312.7요나고호키다이센伯耆大山318.2하쿠비 선히가시야마코엔東山公園321.2요나고米子323.0사카이 선



스에쓰네역 - 쿠라요시 구간 외에는 터널이 없는 해안가를 따라 완만한 구간을 통과한다. 고속화 공사로 소요 시간이 단축된 이 구간에는 돗토리현 내·산인 양현의 도시 간 수송을 담당하는 특급 열차와 이를 보완하는 돗토리역 - 요나고역 간 쾌속 "돗토리 라이너"가 운행되고 있어, 다시 간선 철도의 양상을 띤다. 또한 교토-오사카-고베 발착의 특급 열차도 지즈 급행 경유로 운행되므로, 특히 돗토리역 - 쿠라요시 간에 열차 운행 횟수가 많으며, 보통 열차는 교행이나 추월을 위한 정차 시간이 길다. 보통 열차는 쿠라요시 역에서 환승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열차는 이 구간 내에서 완결되는 열차 외에, 다른 구간이나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하는 열차로서, 호키다이센에서 요나고역까지 (일부 열차는 요나고역을 넘어 이즈모시·니시이즈모까지) 하쿠비선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으며, 그 외에는 마쓰에 발 돗토리행, 인비선지즈 발 요나고행이 설정되어 있다. 과거에는 돗토리 발 사카이선 직통 사카이항행 (평일 한정)도 있었지만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도중의 호키다이센부터 복선·전철화 구간이 되어, 하쿠비선 직통 열차가 더해져 운행 횟수도 많아지고, 요나고역을 거쳐 야스기역까지 복선 구간이 이어진다.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서는 모든 보통 열차가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돗토리역 - 이즈모시역 간에서는, 관광 열차로 임시 쾌속 "아메츠치"가 운행되고 있다.

4. 2. 7. 요나고-이즈모시 구간

하쿠비 선과 동시에 산인 본선에서 가장 먼저 전철화된 구간이지만, 2022년 3월 12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서 보통 열차는 115계 전동차가 사용되는 2왕복을 제외하고 기동차로 운행되며, 1시간에 1번 정도 운행된다. 한편, 쾌속 열차는 모두 기동차이다. 전철로 운행되는 보통 열차의 일부는 하쿠비 선으로 직통하며, 특급 "야쿠모"와 침대 특급 "선라이즈 이즈모"도 운행한다. 신지 역에서는 기스키 선에서 직통하는 열차로, 아침에 키스키마쓰에행이 1편 운행하며, 평일만 산인 본선 내에서 쾌속 운전을 한다(중간 정차역은 노기 역뿐).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서 모든 보통 열차가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1996년 3월 16일부터 2019년 3월 15일까지 평일 시간표의 아침 러시 아워에 이즈모시 발(2003년 10월 1일부터 2010년 3월 12일까지는 니시이즈모 발) 요나고 행으로 "통근 라이너"가 1편 운행되었다. 쾌속 운전 구간은 시지 역에서 마쓰에 역까지이며, 통과하는 역은 키마치 역·다마쓰쿠리온센 역·노기 역뿐이었다. 운행 개시부터 2001년 7월 6일까지는 키하181계 기동차가[20], 2008년 3월 14일까지는 381계 전동차가 특급형 차량의 간이 운용으로 사용되었으며, 2008년 3월 17일부터는 113계 전동차가, 2010년 3월 15일부터 폐지 시까지는 키하126계 기동차가 사용되었다.

이 구간은 특급을 포함하면 열차 운행 횟수가 상당히 많아, 호키다이센 역 - 야스기 역 간, 히가시마쓰에 역 - 마쓰에 역 간, 다마쓰쿠리온센 역 - 키마치 역 간은 복선화가 되어 있지만, 이 구간 전선이 복선화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대향 열차의 대기에 10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부야 역에서 요나고 방면 약 2km의 복선화가 되어 있지만, 1982년호키다이센 역 - 치이노미야 역(현·니시이즈모 역) 간의 전철화 때에 용지는 확보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공되지 않았다.

거리
(km)
TLALCL환승위치
요나고米子323.0+++ 사카이선요나고돗토리현
야스기安来331.8+++ 야스기시마네현
아라시마荒島336.6+++ 
이야揖屋342.2+++ 마쓰에
히가시마쓰에東松江345.3+++ 
마쓰에松江351.9+++ 
노기乃木354.6++- 
다마쓰쿠리온센玉造温泉358.5++- 
기마치来待364.5++- 
신지宍道368.9+++
20px
기스키선
쇼바라荘原373.0+++이즈모
나오에直江379.1+++ 


4. 2. 8. 이즈모시-마스다 구간

(km)TLALCL환승위치쇼바라荘原373.0+++이즈모나오에直江379.1+++ 이즈모시出雲市384.6+++기타마쓰에선 (덴테쓰이즈모시)니시이즈모西出雲389.4 ‡  이즈모진자이出雲神西391.4 *  고난江南393.5 *  오다小田400.1 *  타기田儀404.0 *  하네波根411.5 *  오다쿠테久手413.7 *  오다시大田市417.2 +  시즈마静間420.2 *  이소타케五十猛422.8 *  니마仁万428.9 +  마지馬路431.9 *  유사토湯里434.8 *  유노츠温泉津437.9 +  이와미후쿠미쓰石見福光440.8 *  쿠로마쓰黒松443.6 *  고쓰아사리浅利448.0 *  고쓰江津454.3 + 산코선 (2018년 4월 1일 폐지)쓰노즈都野津458.7 +  우야가와敬川460.5 *  하시波子463.3 +  쿠시로久代465.6 *  하마다시모코下府469.7 *  하마다浜田473.3 +  니시하마다西浜田478.7 +  스후周布482.8 *  오리이折居487.6 +  미호미스미三保三隅492.6 +  오카미岡見497.6 *  카마테鎌手502.7 *  마스다이와미쓰다石見津田507.2 *  마스다益田514.5 + 야마구치선



이 구간은 니시이즈모역에서부터 다시 비전철 구간이 되어 로컬색이 강해지지만, 2001년 7월 7일에 고속화 공사가 완성되어 특급 열차가 시마네현 동서 간의 도시 간 수송을 담당하고 있다. 이즈모시 측의 보통 열차는 대부분이 이즈모시역 발착이 되며, 니시이즈모역·오다시역에서 회차하는 구간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하마다 측에서는 고쓰역 회차 열차가 존재하며, 하마다역에서 환승하는 경우가 많아 하마다역 - 마스다역 간은 운행 횟수가 적어진다. 과거에는 산코선 직통의 보통 열차도 하마다행이 2편, 하마하라행이 1편 설정되어 있었지만, 산코선은 2018년 4월 1일에 폐지되어 해당 열차는 고쓰역 발착이 되었다. 또한, 2022년 3월 11일까지 쾌속 "아쿠아 라이너"가 운행되었다. 2022년 3월 12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 모든 보통 열차가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4. 2. 9. 마스다-나가토시 구간

시마네 현과 야마구치 현의 현경을 지나는 구간에서는 산인 본선 중에서도 가장 승객이나 운행 횟수가 적은데, 두 시간에 한편 정도로 목요일에는 운행하지 않는 열차도 있다. 많은 열차가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을 운행하지만, 일부는 나고·히가시하기 - 나가토시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마스다 이서로는 우등 열차가 없고, 아침에만 2량 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며, 1량의 1인 승무가 실시되고 있다. 이 구간은 해안선을 따라 달리는 구간이 많은데, 차창으로 보이는 풍경은 비교할 수 없다. 특별히 스사 - 우다고 구간에 있는 소고가와 교량은 동해의 주요한 강인 소고가와 강의 하구를 따라 달리는데, 철도사진 촬영 포인트로도 유명하다.

섬네현과 야마구치현의 경계를 지나는 이 구간은 산인 본선 중에서도 승객 수와 운행 횟수가 특히 적어, 하루 10왕복 미만이며, 낮 시간대에는 4~5시간 이상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가 있다. 모든 열차가 1~2량 편성의 원맨 운전으로 운행되는 보통 열차이다. 대부분의 열차가 마스다 - 나가토시 구간을 운행하지만, 마스다 - 시모노세키 간을 직통하는 열차나 마스다 - 히가시하기 간 및 기요 · 히가시하기 - 나가토시 간, 등교일의 나가토미스미 출발 나가토시행 구간 열차가 운행되며, 상행 1편만 아사 출발 히가시하기행의 미네선과의 직통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2005년 2월 말에 특급 "이소카제"가 폐지된 이후, 마스다 - 시모노세키 간은 센자키 지선을 제외하면 산인 본선에서 유일하게 특급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구간이 되었다.[21]。게다가 쾌속 열차의 정기 운행도 이루어지지 않아, 완전히 로컬 수송만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는 JR 서일본 관내의 지방 교통선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20~30 km/h 정도로 속도를 낮춰 통과하는 곡선 구간이 존재한다(이노우라 - 에자키 간 등).

4. 2. 10. 나가토시-시모노세키 구간

산인 본선은 하타부역까지 운행하지만, 열차는 시모노세키역까지 직결 운행된다. 이 구간은 운송력이 낮아, 과거에는 급행 아키요시나 산베 등이 나가토시역에서 갈라지는 미네 선 경유로 운행하기도 하였다.

시모노세키시 지역, 특별히 오구시역 이남은 기타큐슈 대도시권(간몬 도시권)으로 도시권 운송이 꼭 필요한 지역으로, 운행 편수나 량수가 다른 곳과 비교해서 많은 편이며, 시간마다 한편 정도가 운행되고 있다. 운송력 조정을 위해 오구시 역에서 갈아타야 하는 열차가 많다. (이 경우, 오구시 역 이남의 열차들은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일부는 간몬 터널을 넘어 모지나 고쿠라까지도 운행하였으나, 2005년 10월의 시각표 개정때 JR 서일본 관내 하타부 역 이동과 JR 규슈 관내를 연결하는 직통 보통 열차가 완전히 폐지되어, 이후로는 모든 열차가 시모노세키 역에서 되돌림 운행을 하고 있다.

2007년 7월 1일부터 관광 열차 미스즈 시오사이가 운행되었다.(토·일요일·축일에는 쾌속 운행)

4. 2. 11. 나가토시-센자키 구간(센자키 지선)

(km)환승 노선소재지나가토시長門市0.0미네 선, 산인 본선나가토 시야마구치 현센자키仙崎2.2 



미네선을 주행하는 KiHa 120계가 충당된 센자키행


1일 6왕복만 운행하고 있다. 주말 등에 보통 열차 대신 운행되는 관광 열차 "○○의 이야기"(시모노세키 방면 직통)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이며, 일부 선내 회차 열차와 낮 시간대의 시모노세키역 발착 1왕복("○○의 이야기" 운행일의 충당 열차)을 제외하고 미네선과 직통 운전하는 계통이 기본이다. 이는 센자키 지선이 원래는 미네선의 화물 지선으로 개업한 경위에 따른 것이다. 1왕복만 2량 편성이다.

4. 3. 화물 열차

화물 열차는 호키다이센 - 요나고 구간과 오카미 - 마스다 구간에서 운행된다. 모든 열차가 하쿠비 선 또는 야마구치 선과 직통 운행하므로 산인 본선 내에서 완결되는 열차는 없다.[25]

2018년 7월 호우로 인해 산요 본선이 불통되자, 2018년 8월 29일부터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하쿠비 선, 산인 본선, 야마구치 선을 경유하는 우회 화물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34][35] 이는 간토, 간사이와 큐슈를 잇는 철도 대동맥의 장기 불통에 따른 조치였다.[30] 우회 화물 열차는 나고야 화물 터미널역과 후쿠오카 화물 터미널역을 잇는 열차(9081레, 9080레)였다.[34][35]

산요 본선 복구에 따라 우회 화물 열차 운행은 9월 28일에 종료되었으나,[36] 2018년 태풍 24호로 인해 산요 본선이 다시 불통되면서 10월 6일부터 11일까지 다시 운행되었다.[37][38][39]

요베 철교를 건너는 화물 열차 (1978년)

5. 사용 차량

5. 1. 현재 사용 차량

5. 1. 1. 특급 열차

183계 전동차·287계 전동차

: 교토 - 기노사키 온천 구간(마이즈루 하시다테 기노사키 고노토리)

285계 전동차

: 호키다이센 - 이즈모시 구간(선라이즈 이즈모)

381계 전동차

: 후쿠치야마 - 기노사키 온천구 간(고노토리), 호키다이센 - 이즈모시 간(야쿠모)

키하 187계 동차

: 돗토리 - 마스다 구간(슈퍼 마쓰카제 슈퍼 오키)

키하 189계 동차

: 와다야마 - 돗토리 구간(하마카제)

HOT7000형 동차

: 돗토리 - 구라요시 구간(슈퍼 하쿠토)

KTR8000형 동차

: 교토 - 후쿠치야마 구간(마이즈루 하시다테)

287계 전동차

: 교토역 - 기노사키온센역 구간 (「마이즈루」, 「하시다테」, 「키노사키」, 「고노토리」)

289계 전동차

: 후쿠치야마역 - 기노사키온센역 구간 (「고노토리」, 「키노사키」)

285계 전동차

: 호키다이센역 - 이즈모시역 구간 (「선라이즈 이즈모」)

273계 전동차

: 호키다이센역 - 이즈모시역 구간 (「야쿠모」)

117계 전동차

: 호키다이센역 - 이즈모시역 구간 (「WEST EXPRESS 은하」)

:: 부정기 열차로 운행

Kiha187계 기동차

: 돗토리역 - 마스다역 구간 (「슈퍼 마츠카제」, 「슈퍼 오키」)

Kiha189계 기동차

: 와다야마역 - 돗토리역 구간 (「하마카제」)

87계 기동차

: 교토역 - 하타부역 구간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미즈카제」)

:: 부정기 열차로 운행

HOT7000계 기동차

: 돗토리역 - 쿠라요시역 구간 (「슈퍼 하쿠토」)

KTR8000형 기동차

: 교토역 - 후쿠치야마역 구간 (「마이즈루」, 「하시다테」)

5. 1. 2. 보통열차·쾌속열차

5. 2. 과거의 차량

키하 80계 동차는 특급 아사시오, 마쓰카제, 하마카제, 야쿠모, 오키에 사용되었다. 키하 181계 동차는 특급 아사시오, 마쓰카제, 하마카제, 하쿠토, 이나바, 야쿠모, 구니비키, 오키, 이소카제에 사용되었다. 키하 58계·키하 65형 동차는 각 급행 열차에 사용되었다.

24계 객차는 침대특급 이즈모(1·4호)에, 14계 객차는 침대특급 이나바 → 이즈모(2·3호), 급행 다이센에 사용되었다. 12계 객차는 급행 다이센, 산베에, 20계 객차는 침대특급 이즈모, 급행 다이센·산베에 사용되었다.

117계 전동차, 키하 33형 동차 (하마사카 - 돗토리 구간, 2010년 3월 운용 종료), 키하 58계 동차, 50계 객차, 12계 객차도 운용되었다.

183계 전동차는 특급 "마이즈루", "하시다테", "키노사키", "코노토리", "탄바", "호쿠킨키"에, 381계 전동차는 특급 "하시다테", "키노사키", "코노토리", "야쿠모"에 사용되었다.

EF64형・각종 컨테이너 화물차는 호키-다이센역 - 요나고역 구간에서, DD51형・타키1100형은 마스다역 - 오카미역 구간에서 운용되었다.

6. 역 목록

신호장명영업 킬로접속 노선소재지역간누계교토역 (0.0 km)-0.0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 고세이선, 나라선, JR 도카이 도카이도 신칸센, 긴테쓰 교토선,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 선교토시 시모교구우메코지 교토니시역1.71.7단바구치역1.53.2니조역1.74.9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 선엔마치역2.37.2하나조노 역1.68.8우즈마사역1.510.3사가아라시야마역1.712.0사가노 관광철도 사가노 관광선 (사가 역)호즈쿄역4.516.5교토시 니시쿄구우마호리역1.618.1가메오카역2.120.2나미카와역3.523.7가메오카시지요카와역3.727.4야기역3.530.9난탄시요시토미 역1.732.6소노베 역1.634.2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사가노선:JR-E16)∨후나오카 역4.038.2 ◇난탄시히요시 역3.741.9 ◇침구대학앞 역2.444.3 |고마역2.847.1 ◇시모야마 역4.851.9 ◇후나이군
교토탄고정와치역6.758.6 ◇아세리역2.160.7 ◇다테키역4.865.5 ◇산가 역3.569.0 ◇아야베시아야베역7.276.2서일본 여객철도: 마이즈루 선[177]다카쓰 역4.180.3 이시하라 역2.582.8 후쿠치야마시후쿠치야마역5.788.5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치야마 선
WILLER TRAINS(교토 단고 철도):미야후쿠 선 (F1)∨가미가와구치 역6.795.2 ◇시모야쿠노 역7.2102.4 ◇가미야쿠노 역7.4109.8 ◇야나세역5.8115.6 ◇아사고시와다야마역3.4119.0서일본 여객철도:17px 반탄 선◇야부역5.2124.2 ◇야부시야즈카역7.0131.2 ◇숙남 신호장-(134.5) ◇에바라역7.5138.7 ◇도요오카시고노 역3.7142.4 ◇도요오카 역6.0148.4WILLER TRAINS(교토 단고 철도):미야즈 선(미야토요 선: T26)◇겐부도역5.3153.7 ◇기노사키온센 역4.3158.0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돗토리 방면)◇



역명・
신호장명
영업 킬로미터접속 노선소재지
역간누계
도요오카역-148.4 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 (후쿠치야마 방면)
WILLER TRAINS(교토 단고 철도): 미야즈선 (미야토요선: T26)
도요오카시
겐부도역5.3153.7  
기노사키온센역4.3158.0  
다케노역8.0166.0  
사쓰역7.4173.4  가미정
시바야마역2.3175.7  
가스미역4.3180.0  
요로이역5.4185.4  
아마베역1.8187.2  
구타니역4.6191.8  신온센정
하마사카역6.1197.9  
모로요세역1.9199.8  
이고미역4.4204.2  
히가시하마역3.3207.5  이와미군
이와미정
이와미역4.4211.9  
오이와역2.9214.8  
후쿠베역4.3219.1  돗토리시
다키야마 신호장-(225.0)  
돗토리역11.2230.3서일본 여객철도: 17px 인미선
고야마역4.2234.5 
돗토리대학앞역1.3235.8 
스에히사역3.8239.6 
호키기역5.1244.7 
하마무라역2.9247.6 
아오야역5.2252.8 
도마리역6.1258.9 도하쿠군
유리하마정
마쓰자키역5.7264.6 
구라요시역5.5270.1 구라요시시
시모키타조역5.1275.2 호쿠에이정
유라역4.9280.1 
우라야스역5.7285.8 고토우라정
야바세역1.8287.6 
아카사키역3.7291.3 
나카야마구치역4.2295.5 사이하쿠군
다이센정
시모이치역2.2297.7 
오와야역5.9303.6 
나와역1.1304.7 
다이센구치역4.1308.8 
요도에역3.9312.7 요나고시
호키다이센역5.5318.2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선[178]
히가시야마코엔역3.0321.2 
요나고역1.8323.0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 (이즈모시 방면)・ 사카이선



{| class="wikitable" rules="all"

|-

!rowspan="2" style="width:1em; border-bottom:solid 3px #ff5611;"|

!rowspan="2" style="width:7em; border-bottom:solid 3px #ff5611;"|역명

!colspan="2"|영업 킬로미터

!rowspan="2" style="width:1em; border-bottom:solid 3px #ff5611; background-color:#feb;"|

!rowspan="2" style="border-bottom:solid 3px #ff5611;"|접속 노선

!rowspan="2" style="width:1em; border-bottom:solid 3px #ff5611;"|

!rowspan="2" colspan="2" style="border-bottom:solid 3px #ff5611;"|소재지

|-

!style="width:2.5em; border-bottom:solid 3px #ff5611;"|역간

!style="width:3em; border-bottom:solid 3px #ff5611;"|누적

|-

!rowspan="14" style="width:1em; background:#9cf; letter-spacing:0.5em;"|

|요나고역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right;"|323.0



|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 (돗토리 방면)・ 하쿠비 선[178]・ 사카이 선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colspan="2"|돗토리현
요나고시

|-

|야스기역

|style="text-align:right;"|8.8

|style="text-align:right;"|331.8





|style="width:1em;"|∨

|rowspan="44"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0.5em;"|

|rowspan="2" style="white-space:nowrap;"|야스기시

|-

|아라시마역

|style="text-align:right;"|4.8

|style="text-align:right;"|336.6





|◇

|-

|이비야역

|style="text-align:right;"|5.6

|style="text-align:right;"|342.2





|◇

|rowspan="7"|마쓰에시

|-

|히가시마쓰에역

|style="text-align:right;"|3.1

|style="text-align:right;"|345.3





|∧

|-

|마쓰에역

|style="text-align:right;"|6.6

|style="text-align:right;"|351.9

|style="background:#feb;"|●



|∨

|-

|노기역

|style="text-align:right;"|2.7

|style="text-align:right;"|354.6

|style="background:#feb;"|●



|◇

|-

|타마쓰쿠리온센역

|style="text-align:right;"|3.9

|style="text-align:right;"|358.5

|style="background:#feb;"|↑



|style="width:1em;"|∧

|-

|키마치역

|style="text-align:right;"|6.0

|style="text-align:right;"|364.5

|style="background:#feb;"|↑



|style="width:1em;"|∨

|-

|신지역

|style="text-align:right;"|4.4

|style="text-align:right;"|368.9

|style="background:#feb;"|●

|서일본 여객철도: 키스키 선

|◇

|-

|소우바라역

|style="text-align:right;"|4.1

|style="text-align:right;"|3

7. 문제점 및 과제

8. 각주

참조

[1]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2] 문서 全区間を1社で管轄するJR線としても最長。支線を含む営業キロは[[東海道本線]] 713.6 km に次ぐ676.0 km。
[3] 문서 新幹線では[[東北新幹線]]の154本が最多であり、本路線に次いで3番目に多い。このほか、JRグループでトンネルが100本以上存在する路線は、在来線では[[中央本線]](139本)、[[飯田線]](138本)、[[日豊本線]](132本)、[[土讃線]](123本)、新幹線では[[山陽新幹線]](142本)がある。中央本線が2社完結であることから、1社完結路線に限れば、JR北海道とJR東日本の在来線路線はトンネルが100本以上の路線が存在しない。
[4] 웹사이트 ご利用可能エリア|ICOCA:JRおでかけネット http://www.jr-odekak[...]
[5] 뉴스 近畿エリア・広島エリアに「路線記号」を導入します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8-06
[6] 뉴스 お客様によりわかりやすく鉄道をご利用いただくために米子支社エリアに「ラインカラー・路線記号」を導入します!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2-04
[7] PDF JR西日本全域路線図 http://www.jr-odekak[...] 2016-04-16
[8] PDF 広島エリア路線図 http://www.jr-odekak[...] 2016-03-28
[9] 웹사이트 JR西日本 -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 http://www.westjr.co[...]
[10]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11] 문서 後藤総合車両所運用検修センター
[12] 서적 旅の終りは個室寝台車 河出書房新社 2010-03-20
[13] 뉴스 府知事、JRに費用負担求めず 山陰線園部-綾部複線化 http://www.kyoto-np.[...] 2014-02-18
[14] 뉴스 「臨時快速“山陰海岸ジオライナー”運転」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1-04-07
[15] PDF 平成23年 夏の臨時列車運転等のご案内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米子支社プレスリリース 2011-05-20
[16] PDF 平成23年 秋の臨時列車運転等のご案内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米子支社プレスリリース 2011-08-24
[17] PDF 平成24年 春の臨時列車運転等のご案内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米子支社プレスリリース 2012-01-20
[18] 웹사이트 山陰海岸ジオライナー(山陰本線)運休のお知らせ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1-01-24
[19] PDF 2021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福知山支社プレスリリース 2020-12-18
[2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21] 문서 現在この区間の速達移動は[[山口線]]経由の特急「[[おき (列車)|スーパーおき]]」(益田 - 新山口間)と[[山陽新幹線]]または[[山陽本線]]で補完する形となっている。
[22] 문서 小串駅 - 下関駅間は車内で運賃収受を行わない「都市型ワンマン」扱いで、ホーム側全てのドアが開く。
[23] 웹사이트 2023 年春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中国統括本部 2022-12-16
[24] 웹사이트 企画列車「ゆずきち号」の運行がスタート! https://nanavi.jp/ne[...] 長門市観光コンベンション協会 2021-07-13
[25] 간행물 貨物時刻表 平成26年3月ダイヤ改正 鉄道貨物協会
[26] PDF 平成27年3月時刻改正 新しい輸送サービスのご案内 http://www.jrfreight[...] 日本貨物鉄道 2014-12-19
[27] 간행물 貨物時刻表 平成27年3月ダイヤ改正 鉄道貨物協会
[28] 문서 平成二十七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
[29] 뉴스 「西日本豪雨(平成30年7月豪雨)」にともなう長期間の運転見合わせについて https://www.westjr.c[...] JR西日本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7-11
[30] 문서 『J-train』Vol.72、p.14
[31] 뉴스 貨物列車の迂回運転実現に向けた検討状況について https://www.westjr.c[...] JR西日本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8-03
[32] 뉴스 貨物列車の迂回運転実現に向けた検討状況について https://www.jrfreigh[...] JR貨物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8-03
[33] 뉴스 貨物列車の迂回運行が可能となります-伯備線・山陰線・山口線を経由して不通区間を迂回-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中国運輸局 2018-08-22
[34] 뉴스 貨物列車の迂回運転実施について https://www.westjr.c[...] JR西日本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8-24
[35] 뉴스 貨物列車の迂回運転実施について https://www.jrfreigh[...] JR貨物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8-24
[36] 간행물 山陽線運転再開後の貨物列車運転計画等について https://www.jrfreigh[...] JR貨物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9-25
[37] 간행물 山陽線不通区間の代替輸送について(10月4日14:00現在) https://www.jrfreigh[...] JR貨物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0-04
[38] 간행물 山陽線運転再開後の貨物列車運転計画等について https://www.jrfreigh[...] JR貨物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0-10
[39] 문서 『J-train』Vol.72、p.16
[40] 문서
[41] 문서 『J-train』Vol.72、p.18
[42] 문서 『J-train』Vol.72、p.15
[43] 문서 『J-train』Vol.72、p.17
[44] 문서
[45] 뉴스 3月改正から距離も日本一…根室本線の「長〜〜い」鈍行に乗ってみた http://response.jp/a[...] Response. 2015-03-11
[46] 뉴스 JRダイヤ改正で「日本最長距離普通列車」山陽本線371Mが岡山〜徳山間に短縮 https://news.mynavi.[...] 마이 나비 뉴스 2015-03-09
[47] 뉴스 鉄道ニュース月報 (3) 山手線E235系、ついに姿を現す! ダイヤ改正で意外な発見 - 2015年3月 https://news.mynavi.[...] 마이 나비 뉴스 2015-04-12
[48]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4: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3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49]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5: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4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0]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6: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5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1]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7: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6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2]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8: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7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3]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9: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8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9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5]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1: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0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6]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2: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1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7]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3: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2年度) https://www.westjr.c[...] 2024-07-15
[58] 간행물 2023年度区間別平均通過人員(輸送密度)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8-02
[59] 간행물 ローカル線に関する課題認識と情報開示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2-04-11
[60] 간행물 輸送密度2,000人/日未満の線区別経営状況に関する情報開示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2-11-30
[61] 간행물 輸送密度2,000人/日未満の線区別経営状況に関する情報開示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3-11-28
[62] 서적 鳥取県史 近代 第三巻 経済編
[63] 서적 みまさか鉄道ものがたり
[64] 서적 みまさか鉄道ものがたり
[65] 서적 鳥取県史 近代 第三巻 経済編
[66] 서적 鳥取県史 近代 第三巻 経済編
[67] 서적 鉄道作業局年報 明治38年度 1905
[68] 간행물 明治35年逓信省告示第504号 "{{NDLDC|2949098/2}}[...] 官報 1902-10-27
[69] 간행물 明治35年逓信省告示第586号 "{{NDLDC|2949120/1}}[...] 官報 1902-11-22
[70] 간행물 明治36年逓信省告示第412号 "{{NDLDC|2949353/7}}[...] 官報 1903-08-25
[71] 간행물 明治36年逓信省告示第641号 https://dl.ndl.go.jp[...] 官報 1903-12-18
[72] 간행물 明治37年逓信省告示第180号 https://dl.ndl.go.jp[...] 官報 1904-03-11
[73] 뉴스 益田-小浜間鉄道開通祝賀会 山陰新聞 1925-03-08
[74]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 https://dl.ndl.go.jp[...] 官報 1914-04-28
[75] 간행물 軽便鉄道停留場廃止 https://dl.ndl.go.jp[...] 官報 1917-03-07
[76] 간행물 鉄道省告示第85号 https://dl.ndl.go.jp[...] 官報 1925-05-26
[77] 간행물 鉄道省鉄道統計資料. 大正14年度 https://dl.ndl.go.jp[...]
[78] 간행물 逓信省告示第338号 https://dl.ndl.go.jp[...] 官報 1933-02-22
[79] 뉴스 山陰線スピードアップ、大阪-大社間 大阪毎日新聞 1935-02-20
[80] 문서 昭和ニュース事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81] 뉴스 一瞬・京阪神に豪雨禍 朝日新聞 1951-07-12
[82] 서적 近畿地方の日本国有鉄道-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 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編集委員会 2004
[83] 서적 近畿地方の日本国有鉄道-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 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編集委員会 2004
[84] 뉴스 国鉄主要幹線のATS化進む 交通協力会 1965-02-02
[85] 뉴스 土砂に埋まる 山陰線宇田郷駅 日本経済新聞 1965-07-24
[86] 뉴스 近畿・四国の前触れ被害広がる 一万二千戸が浸水 日本経済新聞 1965-09-15
[87] 서적 近畿地方の日本国有鉄道-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 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編集委員会 2004
[88] 서적 近畿地方の日本国有鉄道-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 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編集委員会 2004
[89] 뉴스 国鉄今週の切替え工事 交通協力会 1968-09-15
[90] 뉴스 通報 ●山陰本線玉造温泉・来待間増設線路の使用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0-02-19
[91] 서적 近畿地方の日本国有鉄道-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 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編集委員会 2004
[92] 서적 近畿地方の日本国有鉄道-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 大阪・天王寺・福知山鉄道局史編集委員会 2004
[93] 뉴스 豪雨各地で猛威ふるう 中國新聞 1971-07-02
[94] 뉴스 山陰線 東浜-出雲市 使用開始 交通協力会 1972-01-22
[95] 서적 世界の鉄道 1976
[96] 뉴스 山陰線 長門市-幡生 CTC試験使用を開始 交通協力会 1976-09-22
[97] 뉴스 通報 ●山陰本線東松江・松江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9-10-30
[98] 뉴스 山陰本線 奈古-長門大井 132日ぶり開通見通し 交通協力会 1981-02-24
[99] 뉴스 通報 ●山陰本線米子・安来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82-06-15
[100] 뉴스 通報 ●伯備線、山陰本線伯耆大山・知井宮間の電気運転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82-06-17
[101] 뉴스 集中豪雨で未曽有の大災害 米鉄管内 山陰線などズタズタ 現地で懸命の復旧作業 交通協力会 1983-07-26
[102] 뉴스 被害は四、五十億にも 交通協力会 1983-07-28
[103] 뉴스 江津-浜田間復旧 交通協力会 1983-08-09
[104] 뉴스 山陰線復旧工事急ピッチ 交通協力会 1983-08-17
[105] 뉴스 一ヵ月ぶり運転再開 交通協力会 1983-08-25
[106] 뉴스 山陰本線 52日ぶりに全通 交通協力会 1983-09-13
[107] 뉴스 山陰線 全線CTC化なる 米鉄局で祝賀式、稼働 山陰中央新報社 1984-02-22
[10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2011 交通新聞社 2011
[109] 간행물 JR気動車客車情報 '92年版
[110] 뉴스 山陰線京都-園部間 来春電化完成へ 交通新聞社 1989-03-07
[111] 뉴스 JR7社14年のあゆみ 交通新聞社 2001-04-02
[112] 서적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 2001 西日本旅客鉄道
[113] 간행물 JR気動車客車情報 '92年版
[114] 뉴스 JR西日本 新駅その後 地域発展に大きな役割 交通新聞社 1996-11-11
[115] 뉴스 JR西日本・山陰線 2駅を改称 ダイヤ改正時に 交通新聞社 1993-01-19
[116] 뉴스 園部(JR西日本)-天橋立(北近畿タンゴ鉄道)間 電化工事スタート 96年春完成めざす 交通新聞社 1993-07-23
[117]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5-07-01
[11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6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6-07-01
[119] 뉴스 JR新ダイヤスタート 交通新聞社 1996-03-19
[120] 뉴스 山陰線新駅は「鍼灸大学前」 JR西日本 交通新聞社 1996-02-20
[121] 문서
[122]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6-08
[123]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全線・全駅・全廃線- 11号・中国四国 新潮社 2009
[124] 웹사이트 山陰本線出雲大社口駅の駅名改称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1999-01-14
[125] 뉴스 JRニュース 交通新聞社 1999-10
[126] 웹사이트 平成12年秋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1999-01-14
[127] 뉴스 山陰新時代の幕開け 高速化が完成 交通新聞社 2001-07-09
[128] 문서
[129] 서적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 2012 西日本旅客鉄道
[13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3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3-07-01
[131] 웹사이트 山陰線城崎駅の駅名改称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2004-09-24
[13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6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6
[133] 문서
[134] 뉴스 馬堀〜亀岡間14日開通 JR山陰線複線化事業 http://www.kyoto-np.[...] 2008-12-13
[135] 간행물 ひと目でわかる電化と複線区間 JTBパブリッシング 2010-03
[136] 문서
[137] 웹사이트 山陰本線鎧・餘部間余部新橋りょう架替に伴う代行バス輸送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05-28
[138] 웹사이트 山陰本線鎧・餘部間余部新橋りょうへの架替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04-05
[139] PDF 山口県北部・島根県西部の豪雨による被災状況などについて 別紙1 http://www.westjr.co[...] JR西日本
[140] PDF 山口県北部・島根県西部の豪雨による被災状況などについて 別紙2 http://www.westjr.co[...] JR西日本
[141] 웹사이트 中国エリア 運行情報 http://trafficinfo.w[...]
[142] 뉴스 中国地方の運休区間が拡大…東北の花輪線は9月4日再開へ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 2013-08-29
[143] 뉴스 山陰線江津―浜田が運行再開 http://www.chugoku-n[...] 中国新聞社 2021-08-23
[144] 웹사이트 山陰線・山口線 一部区間での運転状況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145] 서적 平成二十六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
[146] 웹사이트 山陰線(須佐〜奈古駅間)、山口線(地福〜津和野駅間)の運転再開見込みなど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4-07-16
[147] PDF 8月16日から続く大雨等による被害状況について(第1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08-17
[148] 뉴스 福知山市域中心に線路冠水、運転見合わせ続く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 2021-08-21
[149] PDF 8月16日から続く大雨等による被害状況について(第2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08-18
[150] 웹사이트 福知山線・山陰線の8月19日以降の今後の運転計画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4-08-18
[151] 뉴스 福知山豪雨:JR山陰線運行再開 福知山線あと10日必要 http://www.ryoutan.c[...] 2014-08-19
[152] PDF 8月16日から続く大雨等による被害状況について(第4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08-19
[153] 뉴스 JR西日本で路線記号の本格使用が始ま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鉄道ファンrailf.jp鉄道ニュース 2021-08-21
[154] 웹사이트 山陰線 田儀(たぎ)駅構内への土砂流入に伴う運転計画について(2月3日から)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5-02-02
[155] 뉴스 JR広島支社 山陰、山口線にSRC導入 交通新聞社 2017-05-29
[156] PDF 平成30年年台風第7号号及び前線等による被害状況等について(第16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8-07-11
[157] PDF 鉄道の運転再開及び代行バスの運行開始の見通しについて(7月21日12時時点)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8-07-21
[158] 뉴스 山陽本線貨物列車の迂回運行は8月28日から…名古屋-福岡間で1往復 平成30年7月豪雨 https://response.jp/[...] イード 2018-08-26
[159] 웹사이트 【JR西+JR貨】山陰本線 迂回貨物運転終了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8-10-04
[160] 뉴스 大井川鐵道や京都丹後鉄道といった私鉄にも復旧まで数日を要する被害 台風24号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21-08-21
[161] 웹사이트 山陰線の運転計画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8-10-03
[162] 웹사이트 西日本豪雨および台風24号に伴う運転状況などについて(2018年10月9日時点)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163] 뉴스 山陰本線経由の貨物列車、再び運転へ 台風で一部不通の山陽本線を迂回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1-08-21
[164] 뉴스 山陽本線の貨物列車は再開後も一部が運休に…迂回運行は10月11日発で終了 台風24号 https://response.jp/[...] イード 2018-10-14
[165] 보도자료 JR嵯峨野線 京都・丹波口間新駅 駅名決定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18-07-20
[166] 뉴스 山陰本線の新駅「梅小路京都西」駅が開業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21-08-21
[167] 웹사이트 【朝刊先読み!】JR山陰線 江南ー田儀駅間の運転再開 https://www.sanin-ch[...] 2024-02-22
[168] 웹사이트 JR山陰本線 鉄橋の橋脚傾き一部区間で運休 https://www3.nhk.or.[...] NHK 2023-07-11
[169] 웹사이트 山陰線 長門市駅~小串駅間運転取りやめに伴う代行バスの時刻等のお知らせについて https://www.westjr.c[...] 2024-01-29
[170] 웹사이트 大雨で被災のJR山陰線・粟野橋りょう 復旧には少なくとも着工後1年半必要 https://newsdig.tbs.[...] TBS DIG 2024-01-29
[171] 웹사이트 2024年3月16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westjr.c[...] 2024-02-09
[172] 웹사이트 山陰線の部分運転再開日および運行ダイヤ等について https://www.westjr.c[...] 2024-05-23
[173] 웹사이트 【山陰線】沿線の確認お知らせ https://trafficinfo.[...] 中国エリア 運行情報:JR西日本列車運行情報 2024-11-09
[174] 웹사이트 山陰線 石見津田駅~益田駅間の沿線の斜面に亀裂 が発見された事象に伴う代行輸送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trafficinfo.[...] 西日本旅客鉄道中国統括本部 2024-11-04
[175] 뉴스 山陰本線 11月30日から運転再開へ JR西日本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11-28
[176] 문서 ただし京都駅 - 京都貨物駅の分岐点間は単線。
[177] 문서 舞鶴線の列車は一部が福知山駅へ乗り入れる
[178] 문서 伯備線の列車は運転系統上は米子駅へ乗り入れる
[179] 뉴스 福知山高学校前に駅、PTAが署名簿 市長も賛同/京都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6-02-09
[180] 서적 정차장 변환 대사전 국철·JR편 JTB 1998
[181] 간행물 JR 서일본 - 데이터로 보는 JR 서일본 2010 http://www.westjr.co[...] 서일본 여객철도
[182] 문서 현재의 기노사키온센 역
[183] 문서 역대 최장거리 보통 열차는 ja:過去の鉄道に関する日本一の一覧#最長距離普通列車을 참조하라.
[184] 문서 2009년 3월 현재 일본에서 가장 긴 거리를 주행하는 정기 보통 열차(쾌속열차 포함)는 산요 본선의 시모노세키 → 오카야마 구간을 구행하는 열차이다.(상행 2편, 도쿠시마 역에서 열차 번호가 바뀌며, 이와쿠니 - 세노 구간에서는 쾌속이다. 운행 거리는 384.km)운행 시간으로는 네무로 본선의 다키가와 - 구시로 구간(하행만 있음)의 보통열차 2429D가 8시간 1분으로 가장 길다.(운행 거리 308.4km, 쾌속을 제외한 경우에는 최장)
[185]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186] 간행물 데이터로 보는 JR 서일본 2001 서일본 여객철도
[187]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188] 간행물 데이터로 보는 JR 서일본 2001 서일본 여객철도
[189]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190]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191]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192] 간행물 데이터로 보는 JR 서일본 2001 서일본 여객철도
[193] 서적 JR 기동차 객차 정보 JRR 1995
[194] 서적 JR 기동차 객차 정보 JRR 1995
[195] 서적 JR 기동차 객차 정보 JRR 1995
[196] 서적 일본철도여행지도첩 11호 주고쿠 시코쿠 신초사 0288
[197] 뉴스 JR 시각표 1999년 10월호 교통신문
[198] 웹사이트 헤이세이 12년 가을의 다이어 개정에 관해 https://web.archive.[...] 세일본 여객철도 프레스 릴리즈 1999-01-14
[199]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200] 서적 JR 기동차 객차 편성표 교통신문사 2011
[201] 서적 JR 기동차 객차 정보 JRR 20303
[202] 웹사이트 산인 선 기노사키 역의 역명 개칭 https://web.archive.[...] 서일본 여객철도 프레스 릴리즈 2004-09-24
[203] 서적 JR 기동차 객차 정보 JRR 2006
[204] 웹사이트 데이터로 보는 JR 서일본 2005 http://pamph.jr-odek[...]
[205] 뉴스 우마호리 - 가메오카 구간 14일 개통 JR 산인 선 복선화 사업 http://www.kyoto-np.[...] 교토 신문 2008-12-13
[206] 서적 JTB 시각표 2010년 3월호 JTB 퍼블릭
[207] 서적 JTB 시각표 2010년 3월호 JTB 퍼블릭
[208] 서적 JTB 시각표 2010년 3월호 JTB 퍼블릭
[209] 서적 JTB 시각표 2010년 3월호 JTB 퍼블릭
[210] 서적 JTB 시각표 2010년 3월호 JTB 퍼블릭
[211] 서적 JTB 시각표 2010년 3월호 JTB 퍼블릭
[212] 서적 JR 기동차 객차 정보 교통신문사 2011
[213] 웹사이트 데이터로 보는 JR 서일본 2009 http://pamph.jr-odek[...] 2010-03-07
[214] 문서 마이즈루 선의 열차는 일부가 후쿠치야마 역까지 직결 운행함.
[215] 문서 하쿠비 선의 일부 열차는 요나고 역까지 직결 운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